반응형

144510 5

GC녹십자랩셀 자회사 美 아티바, MSD에 2조원 규모 'CAR-NK' 플랫폼 기술수출

GC녹십자랩셀(144510)의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 Inc.)가 미국 제약기업 MSD(머크앤컴퍼니)에 2조원 규모 'CAR-NK' 세포치료제 기술수출을 계약을 맺었다. 28일 아티바에 따르면 회사는 MSD와 3가지 고형암종을 타깃으로 한 CAR-NK 세포치료제를 공동개발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 총 계약 규모는 18억 6,600만 달러(약 2조 862억원)며, 계약금과 마일스톤은 각각 3,000만 달러와 18억 3,600만 달러다. 녹십자랩셀은 아티바의 지분 10%를 보유하고 있으며, 아티바는 현재 미국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이다.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아티바는 지난 2019년 녹십자랩셀의 NK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기술을 도입해 상업화를 추진 중이..

녹십자랩셀, 한-캐나다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수행기관 선정

녹십자랩셀(144510)이 정부가 지원하는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녹십자랩셀은 캐나다 Feldan Therapeutics社와 공동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한 저면역원성 고기능 자연살해(NK, Natural Killer)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과제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7일 공시했다. 이번 과제는 ‘2017년 한-캐나다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캐나다 R&D기관과 국내기업 간의 공동연구를 통한 첨단기술 확보와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프로그램이다. 이번 선정에 따라 녹십자랩셀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3년간 총 7억원의 연구개발비용을 지원받게 됐다. 이번 과제에서 녹십자랩셀과 캐나다 Feldan Therapeuti..

녹십자랩셀, 면역항암제 재평가...간암NH세포치료제 기대

국내 증시에서 면역항암제 가치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이어지면서 녹십자랩셀(144510)이 강세다. 차세대 면역항암제 기술로 꼽히는 NK세포치료제 시장에서 녹십자랩셀이 가장 앞선 것으로 알려졌다. NK세포는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비정상세포를 죽이거나 암세포를 스스로 찾아서 공격하는 백혈구의 일종이다. 녹십자랩셀은 간암과 림프종을 치료하는 신약 ‘MG4101’을 개발하고 있다. NK세포치료제 외에도 카티(CAR-T)치료제와 NK세포치료제의 장점을 섞은 CAR-NK세포치료제의 글로벌 임상을 고려하고 있다. 녹십자랩셀은 오는 2020년께 암세포를 공격하는 NK세포치료제가 상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녹십자랩셀이 사전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NK세포치료제를 썼을 때 위암이 10~20%, 유방암이 30~..

녹십자랩셀, NH세포 글로벌 기술수출 본격화

내년부터 녹십자랩셀(144510)의 NH세포(자연살해 세포) 글로벌 기술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녹십자랩셀은 녹십자 그룹에서 NK세포(자연살해 세포)와 줄기세포 치료제를 연구하는 업체다. 주요 사업은 세포치료제 사업, 검체검사서비스 사업(3분기 기준 매출비중 85.4%), 제대혈 은행 사업(5.9%), 바이오 물류사업(기타 포함 8.7%) 등이다. 녹십자랩셀의 주요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MG4101(동종 NK 세포 기반의 면역세포 치료제)은 지난 1월 간암 적응증으로 2A 임상 IND 승인을 받았다. 2018년 상반기까지 2A 임상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돼, 2A상 완료 후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전사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녹십자랩셀은 NK 세포치료제에 대해 다양한 국가에 기술..

녹십자랩셀, 줄기세포 치료제 정부 지원

녹십자랩셀(144510)이 개발하는 줄기세포 치료제가 정부 지원을 받게 됐다. 전날 녹십자랩셀은 부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이 보건복지부의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부문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녹십자랩셀은 이화여대 의과대학 정성철, 조인호, 김한수 교수팀과 편도선 수술로 버려지는 조직에서 성체줄기세포를 추출, 부갑상선세포로 재생시키는 부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녹십자랩셀과 이화여대 연구진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향후 5년간 매년 5억원의 연구개발비용을 지원받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