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시황

[블루오션스탁] 2024년 9월 6일 (금) 주식시황

Atomseoki 2024. 9. 6. 22:52
반응형

뉴욕 증시가 고용동향보고서 관망세와 민간 고용 부진 및 실업·서비스업 지표 호조 등에 혼조세로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ADP 민간 고용 부진 속 美 고용동향보고서 경계감이 커지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오는 6일 예정된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이날 발표된 고용 관련 지표는 엇갈린 모습을 보였습니다. 민간 고용 조사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8월 민간 고용이 9만9,000건 증가에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로, 시장 예상치 14만4,000건 증가도 크게 밑돌았습니다. 전일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구인 건수가 3년 반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고용 시장의 둔화를 확인한 가운데, 이날 공개된 ADP 민가 고용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6일 발표되는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약할 가능성이 커지는 모습입니다. 시장에서는 8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16만5,000건 증가하고, 실업률은 4.2%를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반면, 美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7,000건을 기록하며 전주보다 5,000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보다 양호한 수치로 2주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183만8,000건으로, 직전주 수정치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양호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서비스업 업황은 확장 국면을 이어갔습니다. 전미공급관리협회(ISM)는 8월 서비스업 PMI가 51.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수치로, 두 달 연속 확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앞서 발표된 8월 제조업 업황이 위축 국면을 이어가며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우기도 했지만, 서비스업이 확장 국면을 유지하면서 침체 우려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입니다. 

이날 국제유가는 OPEC+ 증산 시점 두달 연기에도 불구하고 약보합으로 마감했고, 4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0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05달러(-0.07%) 하락한 69.1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채권시장은 엇갈린 고용 지표 속 강세를 이어갔고, 달러화는 美 민간고용 예상치 대폭 하회 속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ADP 민간 고용 부진 속 美 고용동향보고서 경계감이 커졌고, 외국인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삼성전자(-0.14%), SK하이닉스(-1.88%), 한미반도체(-3.31%) 등 반도체 관련주가 브로드컴 매출 가이던스 실망 등에 하락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3.66%), 삼성SDI(-6.16%), 포스코퓨처엠(-7.89%), LG화학(-3.11%) 등 2차전지, KB금융(-1.54%), 삼성물산(-2.13%), 삼성화재(-1.95%), 삼성생명(-1.73%) 등 밸류업 관련 종목들도 하락했습니다. 현대차(-0.66%), 기아(-0.70%), 현대모비스(+1.18%) 등 자동차 대표주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3.21%), 셀트리온(+1.70%) 등 일부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은 상승했습니다.

 

코스닥지수는 美 고용동향보고서 발표 경계감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4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테슬라 상승에도 불구하고, 에코프로비엠(-5.39%), 에코프로(-6.93%), 엔켐(-8.06%), 피엔티(-5.54%), 중앙첨단소재(-4.43%), 대주전자재료(-8.02%), 나노신소재(-5.37%) 등 2차전지 관련주가 하락했습니다. 알테오젠(-1.95%), HLB(-2.40%), 삼천당제약(-6.49%), 리가켐바이오(-0.95%), 오스코텍(-4.64%) 등 제약/바이오, HPSP(-2.96%), 이오테크닉스(-4.89%), 테크윙(-4.52%), 주성엔지니어링(-2.36%) 등 반도체 관련주도 하락했습니다. 

반면, 셀루메드(+30.00%)는 '셀루덤 필' 개발 완료 모멘텀 및 ‘셀루덤 젠’ 개발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파라텍(+29.92%), LK삼양(+29.91%), TKG애강(+15.41%) 등은 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대책 발표 등에 동반 급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