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068270)의 유일한 화학합성신약 파이프라인인 비후성심근증(HCM) 신약 후보물질 ‘CT-G20’의 글로벌 임상시험이 본격화됐다. 현재 폴란드에서 'CT-G20'의 임상 1상 시험 대상자를 모집 중이다.
올해 상반기 안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CT-G20'의 임상 1상 시험을 신청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에서 3곳의 임상시험 기관을 확보했다.
CT-G20은 셀트리온이 심장질환 중 하나인 비후성심근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화학합성신약이다.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집중하던 셀트리온이 케미컬 의약품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한 뒤 임상 단계에 진입한 유일한 화학합성신약이기도 하다.
셀트리온은 2019년 3월 일본 제약사와 이 후보물질의 독점 판권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현재 국내에서 임상 1상 시험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임상시험을 해왔으며 올해 상반기 종료될 예정이며 상반기 안에 미국 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신청과 허가를 마치고 개시하는 게 목표다.
한편, 비후성심근증은 좌측 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 질환이다. 비후성심근증 환자들은 좌심실의 내강이 협소해지고 유출로가 폐색되면서 심장 이완 기능이 떨어진다. 심정지 돌연사,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얻기도 한다.
현재 전 세계에서 비후성심근증 치료제로 공식 승인받은 의약품은 없다. 비후성심근증 환자들은 호흡곤란, 피로감, 두근거림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해 고혈압 치료제나 항부정맥 치료제 등을 사용한다.
미국 내 비후성심근증 환자는 약 65만명으로, 이 중 폐쇄성 비후성심근증을 앓으면서 약을 먹는 환자는 약 12만명 정도로 회사는 추정하고 있다. 이들의 1인당 연간 약제비는 25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블루오션스탁"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뉴스로 보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D엔진, 카타르 LNG선 발주 호개 기대감 (0) | 2021.03.09 |
---|---|
LS전선아시아, 동 가격 급등...전력 케이블 제품 위주 실적 개선 전망 (0) | 2021.03.09 |
한국금융지주, 올해 하반기 카카오뱅크 IPO 이익 기여도 반영 (0) | 2021.03.08 |
JYP Ent., 中 IT기업과 음원 독점 공급 계약 체결...수익성 개선 전망 (0) | 2021.03.08 |
위지윅스튜디오, 메타버스 시대 개화로 관련 플랫폼 구축 전망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