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09150 80

삼성그룹 IT 기업 최선호주 제시

뚜렷한 이익 가시성과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기반으로 삼성전자(005930), 삼성전기(009150), 삼성SDI(006400)를 삼성그룹 IT 기업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2018년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의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21%, 145%, 290% 증가한 64조8000억원, 7512억원, 4557억원으로 전년 대비 큰 폭의 실적개선을 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센터 수요가 견인하는 메모리 시장의 성장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전망이며 전장 부품 및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MLCC와 중대형 전지의 성장이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전날 싱가포르에서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2018 글로벌 투자자 포럼을 개최하고 5G,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과 관련된 DS 부문 신사업의 중장기 전략을..

삼성전기, 하반기 영업이익 2000억원대 예상

삼성전기(009150)의 올 하반기 영업이익이 2000억원대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성수기에 맞춰 매출과 수익성이 더 좋아지고 기판솔루션도 3분기에 흑자전환 할 것으로 기대된다. RF PCB(경연성 인쇄회로기판) 매출액은 상반기 분기당 1000억원 미만에서 하반기 분기당 2000억원대, 4000억원대로 크게 증가하면서 올해 연간 매출액이 10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메모리반도체가 초반에 호황을 보이면 긴 상승 추세를 예측하지 못한 투자자는 짧게 치고 빠지면서 낮은 수익률에 그친다. DRAM과 유사하게 MLCC 장기 사이클에 돌입한 삼성전기는 진득하게 오래 가져가는 전략이 거래 비용을 줄이면서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최근 한 달 간 급증한 글로벌 MLCC ..

삼성전기,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

삼성전기(009150)와 관련해 하반기 실적 개선을 기대한다.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 시장 환경이 우호적으로 올 하반기 실적 개선이 가속될 전망이며 2009년 호황 때 MLCC 수익성은 2년간 지속됐다고 강조했다. 실적 개선은 컴포넌트 솔루션이 이끌 전망이며 MLCC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IT용 고부가가치 MLCC 판매가 증가하며, 차량과 산업기기 전장화로 관련 시장도 호황이다. 컴포넌트 솔루션 사업의 20% 수준 영업이익률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지금부터 평균판매가격(ASP) 하락을 고민할 필요는 없다. 2분기 실적 추정치로는 매출 1조8798억원, 영업이익 1600억원을 제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9%와 126.7%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

삼성전기, MLCC 폭발적 호황 수혜

삼성전기(009150)에 대해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시장이 폭발적인 호황기에 접어들면서 세계 2위 기업인 이 회사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했다. 16일 대만 MLCC 기업 야게오(Yageo)와 화신(Walsin)의 주가가 각각 상한가를 기록했다. 세계 1위 기업 일본 무라타(Murata)가 전기차용 MLCC 신규 증설을 위해 스마트폰용 MLCC 생산능력(케파·CAPA)을 대폭 줄이거나 생산중단을 결정해 하반기 MLCC 공급 감소로 판매가격(ASP)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2분기에도 대만 MLCC 기업들이 단가를 평균 20% 정도 올릴 수 있게 돼 실적 증가가 유력하다는 분석이다. 내년에도 MLCC 산업 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세계 점유율 50%를 차지하고 ..

삼성전기, 전기차 부품 매출 확대로 실적 개선 기대

삼성전기(009150)에 대해 전기차 부품 매출 확대로 올해 영업이익 1조원 가시권에 진입했다. 2018년 1분기 추정 영업이익을 기존 1222억원에서 전년대비 454% 증가한 1414억원으로 상향한다. 글로벌 MLCC 산업이 전기차 시장확대에 힘입어 구조적 산업변화를 나타내며 MLCC 가격상승이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격 상승 추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3분기까지 증익 추세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전기 전기차 부품 (MLCC) 매출비중은 2017년 불과 1% 수준에서 2018년 14%, 2019년 33%까지 크게 확대돼 향후 밸류에이션 멀티플 확장이 가능할 것이며 전기차용 MLCC 생산능력이 올해 말까지 기존대비 5배 신규증설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기..

삼성전기, MLCC 과소평가...주가 재평가 기대

삼성전기(009150)에 대해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효과가 과소평가돼 있다며 주가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MLCC 최근 가격은 여전히 높은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고, 최근 주요 업체의 생산량 조절까지 더해지면서 향후 추가적인 가격 상승도 기대한다. 올해는 물론, 2019년에도 전장, 5G, 사물인터넷(IoT) 등 MLCC의 수요 증가 요인이 풍부하다. MLCC 가격 상승에 따라 1분기 실적도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5% 늘어난 1조8603억원, 영업이익은 434% 증가한 1362억원으로 전망됐다. 올해 삼성전기의 영업이익 성장률을 100% 이상으로 추정하는데, 이 중 80% 이상을 MLCC가 이끌 것으로 분석했다. 주가 상승을 다소 제한했던 갤럭시S9 카메라모듈 ..

삼성전기, MLCC 업황 호조세

삼성전기(009150)에 대해 주력제품인 MLCC 업황이 호조세를 유지할 것이다. 삼성전기의 올 1분기 매출액은 2017년 4분기 대비 8.8% 증가한 1조8683억 원으로 예상됐다. 기판을 제외한 전 사업부 매출액이 전 분기 대비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삼성전기의 2018년 1분기 영업이익은 2017년 4분기 대비 26.4% 증가한 1350억원으로 예상됐다. 기판사업부를 제외한 전 사업부의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다. 기판 사업부의 부진은 해외 거래선의 RF-PCB의 물량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추정됐다. 실제 MLCC의 영업이익률은 2016년 4분기 2%를 저점으로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2018년 1분기에는 1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MLCC업황 호조의 배경은 공급 부족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