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T&G 40

KT&G, 담배와 홍삼 모두 견고한 성장

KT&G(033780)에 대해 내년 담배 부문과 홍삼 부문 모두 견고한 성장이 예상된다며 음식료주 '최선호주'로 꼽았다. 내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조512억원, 영업이익은 1조6893억원으로 추정됐다. 올해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은 9.4%로, 지난해 대비 올해 영업이익 증가율 5.1%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담배 시장 점유율이 견조한 가운데 전자담배 신제품 출시로 신시장의 확산도 방어가 가능하다. 해외 담배는 수출 지역 다변화와 제품 믹스 개선이 지속되면서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최근 궐련형 전자담배인 '릴'과 '핏' 출시를 발표하면서 '아이코스' 대응 제품 부재 우려가 점차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경쟁 제품 대비 낮은 가격 책정, 연속 흡연 가능, 경쟁 제품..

KT&G, 전자담배 출시가 성장의 기회

KT&G(033780)가 지나치게 저평가돼 있다며 자체 전자담배 출시가 성장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4분기 실적은 매출이 전년 대비 2.7% 늘어난 1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0.3% 증가한 3059억원으로 예상된다. 전자담배 릴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 집행을 감안했다. 기존 담배 점유율은 60%까지 성장이 예상되며 수출은 12.8% 증가가 예상된다. 개소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전자담배 세금이 크게 늘어날 예정이며 갑당 5000원까지 오를 것으로 보이는 경쟁사와 달리 가격 고정(4300원)이 예상된다. 가격 격차가 500원 이상 벌어지면 점유율이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아이코스와의 호환까지 감안하면 내년 안에 점유율 50% 확보도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KT&G, 자체 전자담배 국내 시장 성공적 안착

KT&G(033780)에 대해 자체 전자담배가 성공적으로 국내 시장에 안착하면 주가가 빠르게 상승할 것이다. 자체 전자담배 ‘릴’의 출시는 11월로 예정돼 있다. 압도적으로 많은 영업 사원과 강한 유통망, 국내 집중에 따른 공급과 가격 우위, 후발 주자가 가 질 수 있는 제품(연속 사용 기능 등)에서의 차별성이 장점이다. 전자담배의 니코틴 함유량은 기존 궐련 대비 적어 전체 담배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 이 있다. KT&G의 내년 전자담배 매출액은 483억원을 전망하는데 전체 궐련 시장 7%가 전자담배로 전환, 전자담배 내 점유율은 35%까지 점진적 상승을 가정한 것이다. 전자담배를 포함한 내수 담배 매출액은 0.7% 증가가 기대된다. 올해 3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대비 4.8% 증가한 1조3000..

KT&G, 경쟁사 전자담배 출시에도 국내 담배 매출 오히려 증가

KT&G(033780)에 대해 경쟁사의 전자담배 출시에도 국내 담배 매출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장년층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자랑하는 KT&G에 젊은층을 중심으로 흥행하는 전자담배는 위협이 아닌 기회며 개별소비세 부과 여부가 확정되면 국내 전용 전자담배가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 KT&G가 전자담배 시장에서도 경쟁사 대비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압도적으로 많은 영업사원과 유통망을 통한 지방 선점 가능성이 있고 국내 집중에 따른 공급과 가격 면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선발 주자의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 등도 차별성이다. 이에 따라 2018년 기준 궐련과 전자담배를 합친 KT&G의 국내 판매량은 올해 대비 2~3%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3분기에도 상반기에 이어 이익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

KT&G, 3분기 실적 예상 상회...배당 매력 높아

KT&G(033780)에 대해 3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았다며 배당 매력이 더 높아졌다고 밝혔다. 3분기 국내외 담배 부문 펀더멘털(기초체력)이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홍삼 판매도 양호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의 큰 폭 하락에 따라 외환 관련 손익이 감소하면서 세전이익이 예상을 크게 밑돌았다. KT&G가 배당 증액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 점에 주목했다. KT&G 최근 올해 회계연도 현금배당금액을 전년 대비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KT&G의 비즈니스 성격상 현금흐름 창출력이 뛰어난 반면 성숙 산업 종사자로서 설비투자 필요성은 낮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배당 여력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올해 회계연도에 영업이익 성장률만큼 주당배당금이 늘어난다고 가정하면 현재 배당수익률은 3.2% 수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