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튜디오드래곤에 대해 해외 판권은 지상파 방영 드라마 위주로 기대해야 한다.
스튜디오드래곤의 드라마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매력적인 콘텐츠로 꼽힌다. 다만 제작 드라마 대부분은 모회사인 CJ E&M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만큼, 모회사의 채널 정책(특히 동남아)에 반하는 방향으로 해외 판권 매출이 발생하기를 기대한다면 다소 무리가 있다는 판단이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연간 1~2편의 지상파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데, 모회사와 이해관계 충돌이 없는 이런 작품의 지적재산권(IP)에서는 높은 해외 판권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2018년 해외 판권 매출은 중국 200억원(100억원*2편)을 포함해 737억원에 달할 것이다.
해외 미디어 기업과의 공동제작은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IP를 직접 보유하지는 않기 때문에 수수료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 워너브라더스 등과 드라마 제작을 준비 중이라 밝혔는데, 저명한 글로벌 업체와의 협업은 드라마 제작사로서 스튜디오드래곤의 위상을 한층 높여줄 것이며 이런 작품의 경우 IP를 스튜디오드래곤이 보유하지 않아 제작 수수료 외에 추가적인 수익분배(RS)는 없다.
참고로 넷플릭스가 드라마 제작사에 보장하는 마진율은 일반적으로 15~20%로 알려졌다.
'뉴스로 보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트, 성장기 진입중...4분기 주가 상승 전망 (0) | 2017.11.21 |
---|---|
팬오션, BDI지수 상승으로 실적 개선 기대 (0) | 2017.11.21 |
한진칼, 저평가 매력 유효 (0) | 2017.11.21 |
대덕전자, 올해 매출 5년만에 증가세로 전환 (0) | 2017.11.21 |
세원셀론텍, 독점 세포치료제 개발과 생산시스템 이목 쏠려 (0) | 201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