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덕산네오룩스 46

덕산네오룩스, 삼성디스플레이 OLED 증설 수혜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OLED 증설과 패널 출하 확대로 덕산네오룩스(213420)의 성장 체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OLED 패널 생산능력이(Glass Input 기준) 전년대비 38%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덕산네오룩스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낙관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패널 생산 확대는 OLED소재 사용량 확대로 연결되고, 주요 OLED 소재 중 하나인 HTL은 전년대비 36% 증가한 9.9톤이 사용될 것으로 전망됐다. 레드 호스트는 전년대비 36% 증가한 4.2톤이 소비될 것으로 예상됐다. 2017년 덕산네오룩스의 연간 실적을 매출액 690억원, 영업이익 99억원으로 추정, 각각 전년대비 64%, 158% 증가 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디스플레이 M8..

덕산네오룩스, 내년 플렉서블 OLED라인 가동 수혜

덕산네오룩스(213420)가 2017년 전방 디스플레이업체들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라인의 대규모 가동에 따라 큰폭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아울러 OLED패널이 중저가 스마트폰까지 채택되면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시장에서의 OLED 시장점유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덕산네오룩스의 내년 실적은 주요고객사의 플렉서블 OLED 신규라인 대규모 가동과 제품영역 확대 등으로 크게 개선될 전망이며 2017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대비 62.4%, 265.7% 증가한 742억원, 137억원에 이를 것이다. 덕산네오룩스의 주가는 코스피 조정에도 불구하고 국내 및 중국 디스플레이업체들의 공격적인 OLED 투자 확대 등 영향으로 지난 3개월 및 6개월 전 대비 각각 3.1%, 4.3% 상승했..

덕산니오룩스, 실적 개선세 주목

덕산네오룩스(213420)에 대해 실적 개선세를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요 고객사의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아몰레드·AMOLED) 라인 가동률 개선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안정적인 실적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흐름은 지속될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업체들의 아몰레드 패널 탑재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약 105K/월 수준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라인 증설을 단행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하반기부터 신규 생산능력(Capa)이 순차적으로 가동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아몰레드 관련 HTL, Red 인광 소재 등을 공급하고 있는 덕산네오룩스에 수혜가 예상된다. 덕산네오룩스의 올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37% 증가한 554억..

덕산네오룩스, 아몰레드 수요 증가 수혜

덕산네오룩스(213420)에 대해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아몰레드) 수요가 늘면서 수혜를 볼 것으로 내다봤다. 덕산네오룩스는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때 필요한 발광층 소재를 만드는 업체다.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HTL)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덕산네오룩스는 세계에서 아몰레드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업체를 주력 고객사로 확보했다. 지난해 3분기부터 적색 인광소재를 국내 주요 고객사의 중저가 스마트폰으로 공급하고 있다. 아몰레드 생산면적이 커지면서 HTL 수요도 늘어날 것이며 아몰레드 패널을 채용한 스마트폰은 지난해 2억대에서 오는 2019년에는 8억대까지 증가할 것이다. 아울러 아몰레드 생산면적도 지난해 200만㎡에서 2019년에는 2000만㎡로 10배 이상 커질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