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노공업 32

[블루오션스탁] 2025년 3월 25일 (화)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트럼프 상호관세 면제 가능성 언급 등에 급등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 지속 속 소폭 하락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한 반면, 일본 증시는 상승하는 등 등락이 엇갈렸습니다. 국내 증시는 美 관세 불확실성 지속,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 공매도 재개 경계감 속 하락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더 제한적으로 적용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면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열린 현대차의 201억달러(약 30조8천억원) 규모 대미 투자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상호관세에 관한 질문에 "많은 국가에 면제를 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며칠 내로 자동차와 관련된..

오늘의 시황 2025.03.25

[블루오션스탁] 2025년 3월 24일 (월)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 속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중국증시는 상승한 반면, 일본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일정 지연 등에 따른 정치적 불안 지속 속 양시장 등락이 엇갈리며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연성 발언을 내놓 으면서 상호관세 완화 기대감이 커진 점이 뉴욕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4월 2일로 예정된 관세를 그대로 부과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나는 변하지 않을 것이지만 유연성이라는 단어는 중요한 단어며, 때로는 유연성이라는 게 있고 그래서 (상호관세에서도)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협상의 여..

오늘의 시황 2025.03.24

[블루오션스탁] 2025년 3월 12일 (수)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지속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한 반면, 일본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반도체株 강세 등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언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이며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습니다. 장초반 전일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던 지수는 오전 장중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대미(對美) 수출 전기 요금 할증 부과를 비판하며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에 기존 예고된 25%의 관세에 더해 25%의 관세를 추가 부과해 총 50%로 인상하겠다고 예고하면서 낙폭을 키웠습니다. 다만, 온타리오주가 전기요금 할증 중단을 발표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존중한다는 반응을 ..

오늘의 시황 2025.03.12

[블루오션스탁] 2025년 2월 28일 (금)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트럼프 관세 우려 지속 및 엔비디아 급락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는 동반 하락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트럼프 관세 우려 및 엔비디아 급락 등으로 투자심리가 급랭했고,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달러-원 환율 급등 등으로 급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연일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여전히 대량의 펜타닐 등 중국산 마약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유입되고 있으며, 예정대로 내달 4일 두 나라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같은 날 중국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며, 4월2일 상호관세 날짜는 그대로 유효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오늘의 시황 2025.02.28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17일 (금)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소매판매 등 주요 경제지표 소화 속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상승한 반면, 일본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다음주 美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경계감이 커지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앞서 생산자물가지수(PPI)와 근원 소비자물가 지수(CPI)가 예상보다 다소 완화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이날 발표된 소매판매는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입니다. 美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12월 소매판매는 7,292억 달러로 전월 대비 0.4% 증가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0.6%)를 하회하는 수준입니다. 다만, 지난해 11월 증가폭이 기존 0.7%에서 0.8%로 0.1% 상향 조정되며 12월 실제 수치는 0.1..

오늘의 시황 2025.01.17

[블루오션스탁] 2024년 10월 18일 (금)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美 소비지표 및 실업지표 호조와 반도체/AI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는 각각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지난밤 美 증시 상승 및 이날 아시아증시 상승에도 불구하고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美 9월 소매판매가 시장 예상보다 개선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되는 모습입니다. 美 상무부는 9월 소매판매가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4% 증가한 7,144억 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 0.3% 증가와 8월 수치 0.1% 증가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7% 증가했습니다. 8월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2.1%보다는 증가 폭이 완만해졌지만, 상승 흐름은 이어갔습니다. 아울러 주간 신규 실..

오늘의 시황 2024.10.18

[블루오션스탁] 2024년 9월 24일 (화)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Fed 추가 빅컷 가능성 주시 속 소폭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상승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기관 순매수, 2차전지 관련주 상승 등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Fed 위원들의 비둘기파적(통화완화 선호) 발언이 이어지면서 추가 빅컷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입니다. Fed 내 대표적 비둘기파 인사로 꼽히는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 는 이날 한 행사에서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보다 수백bp(1bp=0.01%포인트) 높은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12개월 동안 금리를 중립 수준에 가깝게 낮춰 현재와 같은 상황을 유지하려면 갈 길이 멀다"고 밝혔습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인플레이션에서..

오늘의 시황 2024.09.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