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튜디오드래곤 122

스튜디오드래곤, 드라마와 플랫폼 다변화 기대감

스튜디오드래곤(253450)이 제작 예정인 대작 드라마와 플랫폼 다변화에 힘입어 올해에도 양적·질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상반기 ‘아스달연대기’를 비롯해 하반기의 2편 등 총 3편의 대작 드라마를 제적할 것으로 예상한다. ‘아스달연대기’는 시즌제 드라마로 제작하는 방안이 검토될 정도의 기대작이라 흥행에 성공한다면 HBO의 ‘왕좌의 게임’, AMC의 ‘워킹데드’처럼 회사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부각될 수 있다. 넷플릭스와 중국 플랫폼 등 드라마 공급처를 다변화를 꾀한다는 점도 호재라는 평가다. 회사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으로 ‘좋아하면 울리는’ 제작·공급을 확정한 상태며 추가적으로 1~2편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또한 제작·공급할 계획이며 중국 OTT 사업자들과의 드라마 공동 제작도 올해를 기..

2018년 12월 13일 (목) 주요이슈

* 뉴욕증시, 12/12(현지시간)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등으로 일제히 상승… 다우 +157.03(+0.64%) 24,527.27, 나스닥 +66.48(+0.95%) 7,098.31, S&P500 2,651.07(+0.54%), 필라델피아반도체 1,198.90(+1.47%) * 국제유가($,배럴), 美 원유재고 감소에도 하락... WTI -0.50(-0.97%) 51.15, 브렌트유 -0.05(-0.08%) 60.15 * 국제금($,온스), 美 물가지표 둔화에 상승... Gold +2.80(+0.22%) 1,250.00 * 달러 index,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등으로 하락... -0.39(-0.40%) 96.99 * 역외환율(원/달러), -4.14(-0.37%) 1,123.92 * 유럽증시, 영국(..

주요이슈 2018.12.13

2018년 11월 9일 (금) 주요이슈

* 뉴욕증시, 11/8(현지시간) Fed 기준금리 인상 기조 확인 속 혼조 마감… 다우 +10.92(+0.04%) 26,191.22, 나스닥 -39.87(-0.53%) 7,530.89, S&P500 2,806.83(-0.25%), 필라델피아반도체 1,252.23(-0.42%) * 국제유가($,배럴), 초과 공급 우려 등에 하락... WTI -1.00(-1.62%) 60.67, 브렌트유 -1.42(-1.97%) 70.65 * 국제금($,온스), 달러 강세에 하락... Gold -3.60(-0.29%) 1,225.10 * 달러 index, Fed 기준금리 인상 기조 확인 등에 상승 마감... +0.68(+0.71%) 96.68 * 역외환율(원/달러), -0.30(-0.03%) 1,118.95 * 유럽증시, ..

주요이슈 2018.11.09

2018년 11월 8일 (목) 주요이슈

* 뉴욕증시, 11/7(현지시간) 美 중간선거 안도감에 급등… 다우 +545.29(+2.13%) 26,180.30, 나스닥 +194.79(+2.64%) 7,570.75, S&P500 2,813.89(+2.12%), 필라델피아반도체 1,257.47(+1.19%) * 국제유가($,배럴), 美 원유재고 증가 등에 하락... WTI -0.54(-0.87%) 61.67, 브렌트유 -0.06(-0.08%) 72.07 * 국제금($,온스), 달러 약세에 상승... Gold +2.40(+0.19%) 1,228.70 * 달러 index, -0.20(-0.21%) 96.11 * 역외환율(원/달러), -2.34(-0.21%) 1,116.83 * 유럽증시, 영국(+1.09%), 독일(+0.83%), 프랑스(+1.24%) * ..

주요이슈 2018.11.08

2018년 10월 10일 (수) 주요이슈

* 뉴욕증시, 10/9(현지시간) 美 국채금리 급등세 진정 속 혼조 마감… 다우 -56.21(-0.21%) 26,430.57, 나스닥 +2.07(+0.03%) 7,738.02, S&P500 2,880.34(-0.14%), 필라델피아반도체 1,300.15(-0.07%) * 국제유가($,배럴), 이란 원유 수출 감소 소식 등에 상승... WTI +0.67(+0.90%) 74.96, 브렌트유 +1.09(+1.30%) 85.00 * 국제금($,온스), 中 경제 우려 등에 상승... Gold +2.90(+0.24%) 1,191.50 * 달러 index, 美 국채금리 하락세 등에 하락... -0.06(-0.07%) 95.69 * 역외환율(원/달러), -1.90(-0.17%) 1,132.04 * 유럽증시, 영국(+0..

스튜디오드래곤, 드라마의 질적 성장 증명되는 단계 돌입

스튜디오드래곤(253450)에 대해 드라마의 질적 성장이 증명되는 단계에 돌입했다. 3분기 스튜디오드래곤의 연결기준 매출은 1087억원, 영업이익 240억원으로 추정된다. 텐트폴(한해 성과를 결정지을 기대작) 선방에 일반 드라마 전반의 시청률 증가로, 스튜디오드래곤 드라마 전반의 질적 성장이 증명되는 단계라고 분석했다. 스튜디오드래곤의 텐트폴 ‘미스터 션샤인’ 최고 시청률은 18.1%로 ‘도깨비’(20.5%)에 버금가는 기록을 했다. 이에 VOD(주문형 비디오) 및 PPL(간접광고) 수익 선방하며 영업이익에 100억원 수준 기여한 것으로 추정했다. 일반 드라마 ‘아는 와이프’, ‘백일의 낭군님’ 등의 평균시청률 상승 역시 판매 매출에 긍정적이나, 전체 드라마 평균 제작비도 함께 증가했기에 3분기 마진 기..

스튜디오드래곤, 3분기 콘텐츠 견고한 성적 기대

스튜디오드래곤(253450)에 대해 3분기 콘텐츠 견고한 성적이 기대된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최근 방영된 주요 드라마 라인업 5개 모두 최고 시청률 5% 이상을 기록해 2분기에 이어 3분기도 실적 호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미스터 션샤인'의 경우 18.1%의 시청률로 작년 최고 흥행작이었던 '도깨비'(20.5%)와 비슷한 성적을 남겼다. 해외 판권판매와 국내 VoD 매출이 스튜디오드래곤 실적의 주 요인이며 3분기는 '미스터 션샤인'의 Netflix에 대한 판권 매출로 인식돼 VoD 판매 매출도 상승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제작비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193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240억원)를 하회할 전망이다. 올해는 드라마 라인업 투자 확대를 통해 콘텐츠 경쟁력을 갖췄으나 제작비 증가로 수익성 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