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튜디오드래곤 122

스튜디오드래곤, 드라마 판매 단가 지속적 상승

스튜디오드래곤(253450)에 대해서 주요 드라마 작품들의 판매 단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하는 텐트폴 작품은 연간 4편 수준으로 제작비 상승에 따라 편성 매출도 오르면서 매출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텐트폴(tent pole)' 작품의 회당 제작비는 일반 작품의 평균 제작비인 5억원 수준보다 2배가량 높은 10억원을 웃돌면서 매출도 탄력을 받고 있다. 다만 제작원가가 상승하는 부담이 있으나 텐트폴 작품은 대부분은 제작 6개월 전에 선판매를 진행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 텐트폴은 텐트를 칠 때 사용하는 지지대 뜻하는 말로 문화계에선 각 제작사의 한 해 사업 성패를 정하는 대작을 가리킨다. 또한 제작비의 최소 50%를 TV편성 매출, 10~20%는 PPL로 충..

CJ ENM, 양호한 실적 흐름 지속 전망

CJ ENM(035760)에 대해 양호한 실적 흐름을 지속할 전망이다. 7월 1일 합병 후 연결 법인 CJ ENM의 첫 영업 실적이 발표됐다.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792억원으로 예상치 793억원에 부합했다. E&M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2%, 25.0% 증가하면서 견조한 실적을 보여줬다며 방송 영업이익은 292억원으로 22% 증가했고 광고 매출액은 10.2% 성장하며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평가했다. 음악과 영화는 명암이 엇갈렸다. 음악 부문은 자체 IP(지적재산권) 강화로 매출액 665억원(+41.1%), 영업이익 42억원(+114%)를 기록했다. 영화/공연은 극장 관람객 정체와 라인업 부진으로 영업손실 39억원(적지)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인 오쇼핑은 별도 403억원, 연결 3..

스튜디오드래곤, '미스터 선샤인' 넷플릭스에 300억원 판매

스튜디오드래곤(253450)에 대해 '미스터 선샤인'이 넷플릭스에 약 300억원에 판매되면서 텐트폴 작품 판권 판매 전망을 상향한다며 목표주가를 9만5000원으로 올린다고 밝혔다. 2분기 영업이익은 원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 늘어난 743억원, 영업이익은 18% 감소한 73억원을 기록했다. tvN, OCN의 편성 증대에 따라 편성 매출은 341억원으로 증가했으나 판매는 288억원으로 상대적으로 부진했고 편성 증가 및 편당 제작비 증가에 따라 매출원가가 637억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3분기 OPM은 20%선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튜디오 드래곤의 매출 이익 구조는 드라마 제작비의 약 70%를 CJ ENM이 방영권료로 지급하고 간접광고와 판권판매를 통해 평균 약..

CJ ENM, 자회사 스튜디오드래곤 지분 일부 매각 검토

CJ ENM(035760)이 자회사 스튜디오드래곤(253450) 지분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드라마 '도깨비' '미생' 등으로 유명한 국내 최대 드라마 제작사로, 최대주주는 지분 71.33%를 보유한 CJ ENM이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스튜디오드래곤 소수 지분 매각을 포함한 전략적투자자(SI) 유치 등을 다각도로 고려하고 있다. 매각될 가능성이 있는 지분 규모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CJ ENM은 경영권을 지킬 수 있는 50% 안팎의 지분을 제외한 잔여 지분을 매각할 것으로 전해졌다. CJ ENM 관계자는 드라마산업의 발전을 위해 (스튜디오드래곤에 대한) 여러 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지분 매각에 대해선 아직 확정된 바가..

2018년 8월 1일 (수) 주요이슈

* 뉴욕증시, 7/31(현지시간) 美/中 무역협상 기대감 등으로 상승… 다우 +108.36(+0.43%) 25,415.19, 나스닥 +41.78(+0.55%) 7,671.79, S&P500 2,816.29(+0.49%), 필라델피아반도체 1,367.47(+0.66%) * 국제유가($,배럴), 美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과 대화 제안 등으로 하락 … WTI -1.37(-1.95%) 68.76, 브렌트유 -0.72(-0.95%) 74.25 * 국제금($,온스), 연준 FOMC 회의 결과 발표를 앞두고 상승... Gold +2.10(+0.17%) 1,233.60 * 달러 index, BOJ 통화정책 유지에 상승... +0.18(+0.20%) 94.53 * 역외환율(원/달러), -5.78(-0.52%) 1113.2..

주요이슈 2018.08.01

카카오, 영상사업 진출과 카카오게임즈의 성장 기대

카카오(035720)의 영상사업 진출과 카카오게임즈의 상장이 기대된다. 카카오는 오는 9월1일 합병 예정인 자회사 ‘카카오M’을 통해 ‘BH엔터테인먼트’ 등 배우 매니지먼트사 3개와 광고모델 캐스팅 에어전시와의 전략적 지분투자로 영상사업 진출을 본격화했다. 카카오는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 ‘카카오페이지’로 수천개의 콘텐츠 IP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영상사업에 보다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tvN 드라마 ‘김비서가 왜 그럴까’가 대표적인 사례로 카카오가 기획하고 스튜디오드래곤과 공동 제작해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카카오는 차후 스튜디오드래곤과 공동 출자한 드라마 제작사 ‘메가몬스터’를 통해 자체 단독 제작까지 목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상사업 진출은 일본 웹툰 플랫폼 ..

스튜디오드래곤, 예상보다 성장세가 가파르다

스튜디오드래곤(253450)에 대해 예상보다 성장세가 가파르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올해 하반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두 편 제작을 시작으로 글로벌 오리지널 드라마 제작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할 것이며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고멀티플을 고려할 시 주가수익비율(PER) 40배 수준도 부담스럽지 않다. 스튜디오드래곤의 상반기 매출은 기대보다 미흡했으나 하반기에는 기대치에 충분히 부합할 것이라고 봤다. 3분기 가장 큰 기대작인 김은숙 작가의 '미스터션샤인'이 30%~40% 수준의 작품 매출총이익률(GPM) 달성이 가능하다는 분석에서다. 즉 작품 하나의 수익만으로 150억원 수준의 매출총이익(GP)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스터선샤인 외에도 약 6편의 드라마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정되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