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니셈 12

[블루오션스탁] 2024년 5월 29일 (수)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엔비디아 강세 지속과 국채 입찰 수요 악화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여행/레저株 약세 등에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중국 증시가 소폭 상승한 반면, 일본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美 국채금리 상승 속 대규모 외국인 현/선물 매도세가 이어지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엔비디아發 훈풍이 지속되면서 뉴욕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최근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액면분할을 결정하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연일 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날도 7% 가까이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습니다. 엔비디아 시가총액은 2조8,000억 달러를 넘어서며 뉴욕 증시 시가총액 2위인 애플에 바짝 다가섰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 22일 장 마감 후 1분기 ..

오늘의 시황 2024.05.29

유니셈, 2분기 매출 1분기보다 상회...긍정적인 실적 전망

유니셈(036200)에 대해 2분기 매출이 평소와 달리 1분기 매출을 상회할 것이며 긍정적인 실적 전망을 내놨다. 유니셈은 반도체용 및 디스플레이용 장치 중에서 스크러버, 칠러를 공급하는 회사이다. 반도체용 제품의 매출 비중이 높다. 올 1분기에 776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이후 2분기에는 8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2분기 매출이 1분기 매출을 상회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2018년, 2019년, 2020년에 2분기 매출이 1분기 매출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이번 실적 호조는 전방 산업의 비메모리 투자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가 견인했다. 전통적인 계절성을 극복하며 2분기 매출이 1분기 매출을 상회하는 이유는 우선 전방산업에서 국내 비메모리 반도체 파운드리 투자가 활발하기 때문..

유니셈, 1분기 저점 이후 분기 실적 개선세 재진입 전망

유니셈(036200)에 대해 1분기 저점 이후 분기 실적 개선세 재진입 할 전망이다. 유니셈은 반도체/디스플레이 CVD, Diffusion, Etching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러버(Scrubber)와 칠러(Chiller) 제조 업체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도시바, 마이크론,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BOE, CSOT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유니셈은 1분기 이후 분기 실적 개선세에 진입할 것이란 관측이다.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3D NAND, 삼성과 LG의 OLED TV투자 수혜가 예상된다. 중국 BOE와 CSOT의 10.5세대 LCD, BOE의 OLED 투자의 수혜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실적은 매출액 1900억원, 영업이익 24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유니셈, 1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실적 성장 전망 유효

유니셈(036200)에 대해 1분기 실적이 예상을 웃돌았고 실적 성장 전망이 유효하다. 유니셈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 49% 증가한 669억원, 111억원을 기록해 추정치를 상회했다. 국내 반도체 고객사들의 투자가 예상보다 양호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수익성이 좋은 반도체 장비 중심으로 매출이 발생해 제품 구성비도 개선됐다. 또한 국내 반도체 고객사들의 투자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어서 연간 실적 성장 가시성이 높다는 관측을 내놨다.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 40% 증가한 657억원, 103억원으로 예상했다. 다만 직전 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 영업이익은 7%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 고객사 관련 디스플레이 매출이 시작되며 2분기 ..

2018년 3월 23일 (금) 주요이슈

* 뉴욕증시, 3/22(현지시간) 美/中 무역전쟁 우려 심화 등으로 2% 넘게 급락… 다우 -724.42(-2.93%) 23,957.89, 나스닥 -178.61(-2.43%) 7,166.68, S&P500 2,643.69(-2.52%), 필라델피아반도체 1,368.98(-2.77%) * 국제유가($,배럴), 차익 실현 매물 및 美 원유 생산 증가 우려 등에 하락 … WTI -0.87(-1.33%) 64.30, 브렌트유 -0.56(-0.81%) 68.91 * 국제금($,온스), 올해 기준금리 인상 전망 유지에 상승... Gold +5.90(+0.44%) 1,327.40 * 달러 index, 무역전쟁 우려 속 혼조세... +0.04(+0.05%) 89.82 * 역외환율(원/달러), +11.68(+1.09%)..

주요이슈 2018.03.23

유니셈, 지난해 영업익 280억 달성...자회사 한국스마트아이디는 실망

유니셈(036200)에 대해 지난해 영업이익이 280억원으로 2015년(86억원)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280억원으로 2015년보다 3배 이상 늘었지만 연결 자회사인 한국스마트아이디에 대한 실망감으로 주가가 실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기초 체력 레벨업에도 불구하고 평가는 과거에 머물고 있어 상승 여력이 높다고 판단했다. 유니셈에 대해 DRAM, NAND, 비메모리, 디스플레이 구분 없이 장비 공급이 가능하다. 해외 고객사 비중 28%, 디스플레이 비중 18%로 여타 업체와 차별화 포인트를 확보했다. 유지보수 매출비중이 20%에 달하는 점도 실적 안정성을 높여주는 포인트며 스크러버 특성상 교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데 그에 따른 매출 발생은 장비 설치에 비례해 누적 중이라고 분..

유니셈, 전방산업 설비투자 확대...실적 성장 지속 전망

유니셈(036200)이 전방산업 설비투자 확대로 내년까지 큰 폭의 실적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올해 유니셈 장비수주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삼성전자 평택라인(3DNand) 투자다. 특히 평택라인 상층부 투자는 하층부의 2배에 육박하는 규모로 진행된다. 상층부 투자 규모에 따라 향후 실적기여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SK하이닉스의 M14·M15·中우시, Toshiba의 Y2라인, LG디스플레이 P10의 설비투자도 진행되면서, 유니셈의 실적성장도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예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75.1% 증가한 2021억원, 영업이익은 235.0% 늘어난 298억원, 순이익은 226.7% 성장한 210억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전방산업 설비투자 확대에 따라 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