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피 1165

2017년 1월 12일 (목) 주요이슈

* 뉴욕증시, 1월11일(현지시간) 뉴욕주식시장은 트럼프 정책 기대감 지속 등으로 상승 마감... 다우 19,954.28(+0.50%), 나스닥 5,563.65(+0.21%), S&P500 2,275.32(+0.28%), 필라델피아반도체 926.54(+0.38%) * 국제유가, 1월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감산불이행 우려 진정에 상승...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월 인도분 가격은 전일보다 1.43달러(+2.81%) 상승한 52.25달러 * 유럽증시, 영국(+0.21%), 독일(+0.54%), 프랑스(+0.01%) * 트럼프 당선인 첫 기자회견... "해외공장 시대 끝났다" 선언... 약값인하, 건강보험개혁법(오바마케어) 즉각 폐지 발언 * 분노한 대한민국…포..

주요이슈 2017.01.12

국내증시 당분간 박스권 흐름

국내 증시는 당분간 좁은 박스권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국내를 포함한 신흥국 증시는 선진국 증시 대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의 공약 현실화 과정에서의 우려감,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 등이 시장에 불확실성으로 반영되고 있다. 국내 증시는 단기간 내 탄력적인 상승 전환이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리스크지표의 하향 안정화, 연말 소비시즌에 대한 기대감 등을 감안하면 추가 하락 리스크도 제한될 것이다. 특히 IT업종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연말 쇼핑시즌에 진입하면서 IT제품 판매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달러화 강세로 수익성이 개선될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업종별 실적 모멘텀을 점검해보더라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은 차별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11..

2016년 4월 18일 (월) 시황정리

지난 주말 미국증시는 엇갈린 경제지표 및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혼조세를 보이며 하락 마감했으며, 유럽증시는 카타르 도하에서 주요 산유국 간의 회의를 앞두고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국내증시는 산유국 회의에서 산유량 동결합의 실패에 따른 유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하락 출발하였으며, 이같은 흐름은 장 마감까지 이어지며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산유국 회의에서 이란이 불참하며 사우디 또한 동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합의가 무산되었고 국제유가 하락의 요인이 되며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합의 실패로 글로벌 증시는 조정의 빌미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당분간 국제유가 흐름과 기업실적에 주목해야겠습니다. 우리들휴브레인과 뉴보텍은 문재인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1위 소식에 상한가, 지엔코는 최..

오늘의 시황 2016.04.18

↑ 2016년 1월 11일 시황정리 ↑

지난 주말 미국증시는 미국 고용지표 호조에도 불구하고 중국경제 우려 지속과 유가 하락 등으로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으며, 유럽증시도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주말 발표된 중국 물가지수가 모두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경기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약세를 보였습니다. 국내증시는 중국의 위안화 절상에도 불구하고 중국증시가 낙폭을 키우고, 외국인 매도가 지속되면서 양지수 모두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중국증시가 급락세를 보이며 여전히 투심이 위축되며 안정되지 않은 가운데 글로벌 증시와 국내증시의 상승을 위해서는 위안화 절하에 따른 중국증시 투심회복과 유가의 안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상승모멘텀의 부재속에 중국시장의 향방과 유가 및 기업들의 실적에 주목하며 외국인 수급에 따른 시장의 방향을 지켜봐야겠습니다...

오늘의 시황 2016.01.11

내년 코스피 PBR 1배도 위험

내년 코스피지수가 시스템 위험요인으로 주가순자산비율(PBR) 1.0배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내년 코스피는 시스템 위험요인의 대두로 PBR 1배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며 시스템 위험요인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면 내년 코스피의 저점은 올해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내년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경기둔화(디플레이션) 극복 과정에서 광범위한 구조조정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다. 중후장대형 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벌어질 구조조정은 내년 글로벌 경제의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며 제조업 강국 한국은 이 같은 흐름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구조조정 등 시스템적인 위험요인이 발생, ..

↑ 2015년 12월 18일 시황정리 ↑

밤사이 미국증시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으며, 유럽증시는 미국 금리인상 불확실성 해소에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국내증시는 하락 출발하였고 오늘도 외국인 매도가 이어졌지만 기관이 매수규모를 키우며 낙폭을 만회하며 소폭 하락마감하였으며,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속에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은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후 달러하의 향방, 유가의 흐름이 중요한 가운데 여전히 유가 하락세가 멈추지 않으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한 상황에서 당분간 박스권 흐름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로코조이는 모바일 신작 게임 '히어로즈앤타이탄즈' 출시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에 상한가, KR모터스는 중국 오토바이유한공사와 합자의향서 체결 모멘텀이 지속되며 이틀째 상한가를 기록하였습니다. 수급별로 ..

오늘의 시황 2015.12.18

↑ 2015년 12월 16일 시황정리 ↑

밤사이 미국증시는 이틀간의 일정으로 FOMC회의가 시작된 가운데, 국제유가가 3% 가까이 상승하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국내증시도 미국증시의 영향을 받으며 상승출발하였으며, 장 초반부터 외국인의 매도세를 보였지만 기관의 대규모 매수 덕분에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내일 새벽이면 미국 금리인상 여부가 발표되는데 어느때보다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높은 상황입니다. 오히려 금리인상을 미룰경우 경기둔화 우려 및 불확실성이 작용하며 시장의 충격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연준에 대한 신뢰성 문제 등 이번 회의에서 금리인상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9년만에 금리인상을 앞두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폭과 속도 등 통화정책에 대한 옐런의장의 발언과 미국 경제전망 등에 따라 글로벌 증시의 방향성이 좌우될 것..

오늘의 시황 2015.12.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