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SMC 19

[블루오션스탁] 2021년 1월 8일 (금) 주식시황

뉴욕 증시는 블루웨이브 현실화 속 추가 경기 부양 확대 기대감 및 경제지표 호조 등에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으며, 일본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전일 종가기준 사상 첫 3,000선을 돌파한 지수는 이날에도 급등세를 이어가며 3,150선 위로 올라서는 등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으며, 코스닥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민주당은 전일 조지아주에서 2석의 상원 의석을 모두 확보하며 총 100석인 상원에서 50석을 차지하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부터 부통령에 취임하는 카멀라 해리스 당선인이 행사하는 캐스팅 보트를 감안하면 민주당은 사실상 상원 지배력을 확보합니다. 백악관에 이어 상•하원을 민주당이 ..

오늘의 시황 2021.01.08

삼성전자, 파운드리 성장 수혜 기대감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며 최근 주가상승에도 여전히 글로벌 동종 반도체업체 중 밸류에이션 매력이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인텔이 주도하고 있던 PC 및 서버용 CPU 시장이 ARM 아키텍처 기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다양화되면서 선단(advanced)공정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TSMC(대만 반도체회사)와 삼성전자 파운드리 가치가 높아지는 중이며 삼성전자가 5nm 기술 수율 확보에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기는 하지만 파운드리 시장 성장의 수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증권가 전망과 달리 삼성전자가 내년초부터 공격적인 메모리반도체 증설을 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공격적인 증설보다는 업황 회복에 맞춰 점진적 증설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연..

삼성전자, 2021년 파운드리 사업 새로운 먹거리 확고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2021년부터 파운드리 사업이 새로운 먹거리로 확고하게 자리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급 증가세 둔화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2021년 초 메모리 수급도 개선될 것이라 전망했다. 2021년부터 삼성전자 파운드리 관련해 고객 수 증가와 생산능력(Capa) 확대로 비메모리 관련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1% 늘어난 22조2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파운드리 업황은 10년 내 최고 수준이다. 머신러닝, 고성능 스마트폰, 보안·사물인터넷(IoT), ARM 아키텍처를 이용한 신개념 프로세서 등 수요가 양호하기 때문이다. 반면 공급은 제한적이다. 5nm(나노미터) 이하에서 대당 2000억에 달하는 극자외선(EUV) 장비 등 천문학적 투자 금액을 부담하고 공정을 개발..

삼성전자, 비메모리 반도체 재평가...목표가 8만원

삼성전자(005930)의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재평가할 때가 됐다.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의 밸류에이션 할증 가능성이 드디어 주가에 반영될 때가 됐다. 작년 퀄컴과 애플의 특허 소송 합의,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 대만 TSMC의 미국 공장 증설, 인텔의 미세공정 전환 지연 이슈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했다. 이에 따라 7나노미터(nm) 이하 미세공정 전환이 가능한 기업은 TSMC와 삼성전자로 압축됐고 삼성전자 비메모리 사업의 미국 고객사 매출 기여도가 유의미하게 늘어나기 시작했단 평가다. 인텔이 CPU 또는 기타 제품(GPU, Chipset)의 파운드리 위탁생산을 어느 기업에 맡기든 승자와 패자가 갈리지 않고 파운드리 업계 전체적으로 낙수효과가 발생해 TSMC, 삼성전자가 둘 다 수혜를 입을 것이다. 목..

2018년 4월 20일 (금) 주식시황

뉴욕 증시는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 지속에 대한 부담으로 하락 마감했으며, 유럽 증시는 유가랠리에 에너지주가 오르며 상승을 주도하며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으며, 일본 증시는 소폭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미국 주요 지수의 하락과 외인의 대규모 매도세에 하락 마감했으며, 코스닥은 제약/바이오 관련주 반등에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미국 금리가 꾸준히 오르는 점이 뉴욕 증시의 하락 부담을 더했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2.90% 이상 상승했습니다. 10년 국채금리가 이 선 위로 넘은 것은 올해 2월 증시의 투매 현상을 촉발했던 때 이후 처음입니다. 2년물 국채금리는 2008년 8월 이후 최고 수준인 2.4% 선 위로 올랐습니다. 특히 단기물 금리 상승이 꾸준히..

오늘의 시황 2018.04.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