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시황

[블루오션스탁] 2024년 7월 2일 (화) 주식시황

Atomseoki 2024. 7. 2. 22:10
반응형

뉴욕 증시가 美 대선 불확실성 속 국채금리 급등에도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美 국채금리 급등 영향에 투자심리가 악화됐고,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하락 마감했습니다.

 

애플,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테슬라(+6.05%)는 2분기 출하 성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중국 토종 전기차 3사가 탄탄한 출하 성적을 공개하면서 6% 넘게 급등했습니다. 니오, 리오토, 샤오펑 등 중국 토종 3사의 2분기 전기차 출하 대수는 모두 19만6,161대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7%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오는 2일 발표되는 테슬라 2분기 출하 역시 기대 이상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입니다. 테슬라는 지난 3월 1일 이후 처음으로 종가 기준으로 200달러 선을 넘어섰습니다. 애플(+2.91%)은 UBS가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이유로 성장세가 제한될 것으로 우려했지만 3%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메타, 엔비디아 등 여타 대형 기술주들도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대선 불확실성 속 국채금리가 급등한 점은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美 국채 금리는 지난주 첫 대선 TV 토론에서 완승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장기물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동부시간 오후 3시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3.60bp 급등한 4.482%를 기록했습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5.00bp 오른 4.781%를 나타냈으며, 30년물 국채금리는 13.80bp 급등한 4.644%에 거래됐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하면 재정적자가 더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채권 투매 심리가 커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美 대법원이 트럼프의 손을 들어준 점도 투매 심리를 자극하는 모습입니다. 이날 미국 연방 대법원은 전직 대통령의 재임 중 공적 행위는 형사 기소를 면제받아야 한다며, 트럼프가 2020년 대선 결과 뒤집기를 시도했다는 혐의에 대해 면책 여부의 판단을 하급심 재판부에 넘겼습니다. 

이날 발표된 제조업 지표는 엇갈린 모습입니다. 전미공급관리협회(PMI)가 발표한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5를 기록해 3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이어갔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로, 지난 5월의 제조업 PMI 48.7도 밑돌았습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이 발표한 6월 미국 제조업 PMI는 51.6을 기록해 3개월래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 51.7을 밑돌았지만, 지난 5월 수치 51.3은 상회했습니다.

한편, 존 윌리엄스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연방준비제도(Fed)가 2%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했습니다. Fed의 실질적 3인자인 윌리엄스 총재는 이날 국제결제은행(BIS)의 연례총회에서 열린 패널토론에 나와 "나는 연준이 우리의 2% 인플레이션 목표를 지속적인 기반 위에서 달성하는 경로 위에 있다고 확신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이날 장 마감 무렵 오는 9월 Fed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65.3%로 반영됐습니다. 

이날 국제유가는 원유 공급 부족 전망 등에 급등했습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84달러(+2.26%) 급등한 83.3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채권시 장은 대선 불확실성 속 급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프랑스 선거 안도감 및 트럼프 리스크가 엇갈리며 소폭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소폭 상승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美 국채금리 급등 영향에 투자심리가 악화됐고, 기관과 외국인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피지수는 3거래일만에 하락했습니다.

 

SK하이닉스(-1.49%), 한미반도체(-1.29%)가 하락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현대차·기아 6월 자동차 판매량 감소 등에 현대차(-4.72%), 현대모비스(-4.85%), 기아(-3.89%) 등 자동차 대표주가 하락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1.01%), 삼성SDI(-4.22%), 포스코퓨처엠(-2.60%), SK이노베이션(-2.95%) 등 2차전지주도 부진했습니다.

 

코스닥지수는 美 국채금리 급등 영향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고,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3거래일만에 하락했습니다. 이번주 금요일 삼성전자, LG전자 잠정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2분기 실적 시즌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시장전문가들은 실적시즌이 임박하면서 대형주로 수급이 옮겨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3.18%), 에코프로(-2.39%), 대주전자재료(-5.46%), 나노신소재(-4.56%), 신흥에스이씨(-5.46%) 등 2차전지주가 하락했습니다. 리노공업(-4.69%), HPSP(-1.41%), 이오테크닉스(-3.83%), 주성엔지니어링(-1.70%), 티씨케이(-1.05%), 피에스케이홀딩스(-3.14%) 등 반도체 관련주도 하락했습니다. 반면, 인벤티지랩(+11.43%), 펩트론(+7.03%), 대봉엘에스(+14.41%) 등 비만치료제 테마가 연일 상승했고, 삼천당제약(+8.88%), 셀트리온제약(+0.97%) 시총 상위 일부 제약/바이오주도 상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