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바이오로직스 95

2018년 3월 6일 (화) 주요이슈

* 뉴욕증시, 3/5(현지시간) 무역전쟁 우려 완화 속 큰 폭 상승… 다우 +336.70(+1.37%) 24,874.76, 나스닥 +72.84(+1.00%) 7,330.70, S&P500 2,720.94(+1.10%), 필라델피아반도체 1,375.86(+0.89%) * 국제유가($,배럴), 리비아 원유 생산 감소 등에 상승 … WTI +1.32(+2.16%) 62.57, 브렌트유 +1.17(+1.82%) 65.54 * 국제금($,온스), 달러화 강세와 美 증시 상승 등에 하락... Gold -3.50(-0.26%) 1,319.90 * 달러 index, 파운드화 강세 속 강보합... +0.08(+0.09%) 90.02 * 역외환율(원/달러), -1.76(-0.16%) 1,079.73 * 유럽증시, 영국(+..

주요이슈 2018.03.06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매출 성장세 빠르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매출 성장세가 빠르다고 평가했다. 설비투자(CAPEX)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효율성을 개선해 경쟁사 대비 원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1공장, 2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실적 모멘텀이 지속될 것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3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수주 계약 체결 모멘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봤다. 3공장 가동률이 89%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에는 전체 매출액이 1조6800억원까지 늘어난다는 분석이다. 2019년 이후에는 4공장 증설이 예정돼 있다. 바이오시밀러를 연구개발하는 관계사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성과도 기대된다. 올해 1분기에는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인 온투루잔트 유럽에서 허가로 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4분기에..

삼성물산, 매물 부담 해소 여부와 이후를 주목

삼성물산(028260)에 대해 삼성SDI가 6개월 이내 지분 처분이 불가피한 가운데 처분 방식 결정시 주가 약세 요인의 해소 기회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공정위의 삼성물산 주식 303만2758주를 8월26일까지 처분하라는 통보에 삼성SDI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6개월의 시한이 있는 만큼 물산 측은 처분 방식에 대해 신중히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식 가격에 충격을 주는 방법은 우선 고려 대상이 아닐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번 500만주를 처분할 때처럼 시장 출회 물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지, 문화, 공익재단의 추가 인수는 부담스러울 수 있어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다. 이번 오버행(매물 부담)은 잠재적 오버행 이슈의 완전한 해소며 실적에 대한 신뢰도가 과거와 달리 높아진 점과 삼..

삼성바이오로직스, 4분기 어닝서프라이즈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지난해 4분기 깜짝실적을 올렸다면서도 올 1분기 실적 눈높이를 낮춰야한다고 분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4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3.0% 증가한 1614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 3분기 2공장 가동률 상승 효과가 4분기 실적에 반영됐다. 4분기 가동률은 3분기 보다 소폭 낮은 만큼 1분기 매출액도 4분기 수치보단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3공장 가동 준비를 위한 생산인력 채용 및 3공장 신규 수주를 위한 판관비 증가로 올해 1분기 실적 눈높이는 조금 더 낮출 필요가 있다. 3공장은 올해 4분기부터 본격 가동될 것이란 관측이다. 올해 연간 두자릿수의 매출 성장을 이어가지만 지난해 대비 마진율은 하락할 것이란 ..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증설 가능성 주목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4공장 증설에 대한 열린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월 JP모건 컨퍼런스에서 3공장에 이어 4공장 설립에 대한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4공장은 이미 부지가 확보되어 있어 언제든지 착공할 수 있으며 3공장과 동일한 규모의 생산능력(18만리터, 연매출 8000억원 추정)을 갖추게 될 것이다. 3공장의 가동률이 2021년 8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4공장은 적어도 2022년부터는 가동을 개시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며 3공장 준공에 약 2년이 소요됐다는 점을 감안해 4공장은 2019년 착공돼 2021년 준공된 후 1년 간의 밸리데이션을 거쳐 2022년 말부터 가동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22년 이후 성장이..

암니스, 바이오시밀러 본격 투자

암니스(007630)가 바이오시밀러 전문기업 폴루스의 전환사채(CB)를 취득하며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본격적으로 투자한다. 암니스는 지난해 12월 29일 신규 사업 투자 목적으로 100억원 규모의 폴루스 전환사채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2일 밝혔다. 폴루스는 조달 자금을 경기도 화성 신공장의 조속한 건설 및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에 투입할 예정이다. 오는 7월 신공장이 완공되면 인슐린과 성장호르몬 등 치료용 단백질 의약품의 승인 및 판매 준비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암니스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분야로 7월 예정된 신공장 완공 시기를 앞당기는 등 사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투자를 지원할 계획이며 한국, 미국, 일본 시장에 제품을 공급할 국내 공장 완공을 서두르..

코스닥 바이오 확산을 기대할 시점

연초부터 10월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한미약품, 신라젠 등 상위 종목의 효과를 배제하면 헬스케어 업종 시가총액은 2.9%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덜 올랐던 코스닥 바이오 종목으로 확산을 기대할 시점이다. 특히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 혁신성장을 위한 자본시장 활성화 방안이 12월까지 마련될 예정이며 코스닥 내 비중 높은 제약·바이오 섹터 관심을 확대해야 한다. 실적 모멘텀 및 연구개발(R&D) 상승동력을 보유한 업체를 매수해야 한다. 케어젠, 차바이오텍, 오스코텍을 유망 업종으로 뽑았다. 케어젠은 3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66.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57.2% 늘었다. 내년 4월 신공장 성장동력까지 보유한데다 현재 주가는 2018년 예상 주가수익비율(PER)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