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솔브레인 27

솔브레인, 1분기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상회 예상

솔브레인(036830)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중저가 스마트폰 내 평면(Rigid) OLED 판매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세가 지속됐던 씬글라스(Thin Glass) 부문의 실적이 턴어라운드할 전망이며, 1분기 삼성전자(64 Stacks 3D NAND)와 2분기 SK하이닉스(72 Stacks 3D NAND)에 인산계열 부식액(Etchant)을 독점 공급하며 전사 실적 성장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1분기 영업이익 312억원, 매출액 2011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1분기 반도체 부식액 출하량은 고객사 3D NAND의 가동률 상승 효과로 늘어나고, 평균 판가 역시 원재료 가격 인상이 일부 전가되며 분기보다 1~2% 증가할 것이..

솔브레인, 올해 실적 역대 최대 달성 전망

솔브레인(036830)에 대해 지난 4분기 실적은 부진했으나 올해 연간 실적은 역대 최대를 달성할 전망이다.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한 2052억원, 영업이익은 20% 늘어난 254억원으로 낮아진 시장기대치에 대체로 부합했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 평택 신규공장 가동에 따른 반도체 부문 실적 호조에도 TG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업황 부진과 일회성 성과급 지급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올해 부터는 수익성이 정상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소재 중심 판매 증가로 올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8.3% 늘어난 1989억원, 영업이익은 283억원으로 7.6% 늘어날 것이다. 또 올해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8445억원, 1265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며 현주가는 올해 예상 ..

솔브레인, 반도체 성장에 근거한 주개 재평가 예상

솔브레인(036830)에 대해 반도체 성장에 근거한 주가 재평가(Rerating)을 예상한다. 내년 연간 실적 추정치로는 매출 9035억원, 영업이익 1486억원을 제시했다. 이는 사상 최대치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16%와 34%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3D NAND 증설이 지속될 전망이며 솔브레인은 '보유 특허를 통한 경쟁사 진입 방어'와 '식각액(Etchant) 케파(Capa) 증설을 통한 점유율 상승'으로 해당 시기 큰 폭의 실적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내년 1분기 비수기에 뚜렷한 실적 증가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솔브레인의 현재 주가는 삼성전자의 지분참여 단가(6만6600 원) 수준에 불과하다.

2017년 10월 31일 (화) 주요이슈

* 뉴욕증시, 10/30(현지시간) 세제개편안 불확실성 등으로 하락… 다우 -85.45(-0.36%) 23,348.74, 나스닥 -2.30(-0.03%) 6,698.96, S&P500 2,572.83(-0.32%), 필라델피아반도체 1,265.91(+0.19%) * 국제유가($,배럴), 감산 연장 기대에 상승 … WTI +0.25(+0.46%) 54.15, 브렌트유 +0.46(+0.76%) 60.90 * 국제금($,온스), 달러화 약세에 상승... Gold +5.90(+0.46%) 1,277.70 * 달러 index, 美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 하락... -0.42(-0.45%) 94.49 * 역외환율(원/달러), -0.19(-0.02%) 1,124.83 * 유럽증시, 영국(-0.23%), 독일(+0.09..

주요이슈 2017.10.31

솔브레인, 3분기 실적 개선 전망

반도체 재료 생산업체인 솔브레인[036830]이 올해 3분기에 개선된 영업이익을 낼 것이라 전망했다. 솔브레인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를 생산하는 업체다. 고객사인 삼성전자가 3분기부터 평택 3D 낸드(NAND) 신규 팹 가동을 시작했다. 솔브레인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1천951억원과 273억원으로 전분기보다 각각 6%,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는 평택 팹과 중국 시안 공장에서 추가 투자에 나설 것이며 고객사의 3D 낸드 제조 역량(캐파)이 확대되면 솔브레인의 매출 증가도 가능하다.

솔브레인, 올해 사상 최대 실적 전망

솔브레인(036830)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솔브레인의 1분기 추정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1839억원. 영업이익은 19% 감소한 256억원이다.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4분기에 성과급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데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영업 이익 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실적 개선 속도는 2분기부터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식각액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했다. 주요 고객사가 평택에서 3D 낸드 신규 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3D낸드 산업은 역사상 최대 규모의 설비증설 사이클에 접어들었다. 삼성전자의 3D 낸드 생산능력은 현재 월 11만 장 수준에서 올해 말 월 20만 장, 내년 말에는 월 32만 장 수준으로 대폭 확대..

솔브레인, 반도체 식각액 매출증가 전망

솔브레인(036830)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0%, 11% 증가하는 7944억원과 116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매출 성장은 지난해 3분기부터 시작된 중경전자재료의 디스플레이 재료 부문 매출 및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3D NAND 신규 설비 가동에 의한 반도체 식각액 매출증가가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디스플레이 유기재료, 광학필름 부문과 반도체 CVD 재료, CMP Slurry 부문 및 2차 전지 매출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하고 고객이 일부 직거래를 추진 중인 ND 자석 부문 매출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지난해 4분기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1871억원, 212억원, -29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영업이익률의 하락 원인은 성과급 지급에 더해 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