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차전지 222

한솔케미칼, 전고체 배터리 시장 확대 수혜

한솔케미칼(014680)에 대해 선제적 고객 확보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 확대의 수혜가 예상된다. 한솔케미칼이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 제조의 특허 등록에 최종 성공한 유일한 배터리 소재 업체로 선제적 고객 확보에 따른 전고체 배터리 시장 확대의 수혜가 예상된다. 2차전지 소재의 다양한 제품구성 확보에 따른 배터리 소재 매출 성장을 반영해 2023~2025년 실적 추정치를 상향 조정한다. 올해 바인더를 시작으로 오는 2023년 실리콘 음극재, 2025년 전고체 배터리용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까지 제품 구성 확대가 예상된다. 배터리 소재 매출은 지난해 420억원에서 2025년 4417억원으로 5년 만에 10배 증가를 예상했다. 매출 비중도 같은 기간 6.8%에서 28...

삼성SDI, 3분기 실적 예상치 부합...원형전지 호황

삼성SDI(006400)가 올해 3분기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전지가 반도체 수급난 영향이 불가피하겠지만 소형전지와 전자재료가 기대 이상으로 선전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삼성SDI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5321억원, 영업이익 354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4%, 32.4%씩 증가한 규모다.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전망치(컨센서스)인 3494억원도 소폭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전지가 반도체 수급난 영향으로 일부 매출 차질이 불가피하지만 소형전지와 전자재료가 기대 이상으로 선전했다. 우호적인 환율 여건의 도움도 받을 것이다. 자동차전지는 유럽 고객사들이 생산 차질을 겪으며 전기차(EV) 중심의 전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플..

동화기업, 전해액 수익성 3분기부터 개선 전망

동화기업(025900)에 대해 전해액 업체들의 가격 협상력이 상승하면서 전해액 부문 수익성이 3분기부터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동화기업은 2분기 원가 상승으로 인해 전해액 부문 영업이익률이 -6.8%로 크게 하락했다. 양극재, 동박 등 주요 2차전지 소재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 상승을 판가에 반영하면서 수익성을 방어하는 것과 달리 전해액 시장은 오랜 기간 원가 상승분을 판가에 반영하지 못했다. 3분기부터는 이러한 흐름이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로 배터리 생산량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주요 전해액 업체의 상반기 실적이 크게 악화하면서 셀 메이커 입장에서는 이들의 판가 인상 요구를 외면하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전해액 시장은 글로벌 시장 내 업체 수가 12개 내외로 매..

에코프로비엠, 중장기 성장성 확보...공격적 캐파 증설 전망

에코프로비엠(247540)에 대해 SK이노베이션과의 전기차(EV)용 하이니켈 양극재(NCM) 판매 계약 체결로 중장기 성장성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에코프로비엠은 2차전지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업체다. 주로 니켈 함량이 80%이상인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하며, 여기에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을 배합한 NCM과 NCA도 생산한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9일 SK이노베이션과의 EV용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 계약 체결 사실을 공시했다. 해당 계약으로 회사는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 동안 10조1000억원 규모의 EV용 하이니켈 양극재를 공급한다. 현재 수준의 ASP를 가정해 역산할 경우 3년간 공급 예정 물량은 30만톤으로 추정한다. 공급 예정 아이템은 NCM811과 내년부터..

SK아이이테크놀로지, 글로벌 수요에 5년간 연평균 42% 성장 전망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에 대해 영업이익이 향후 5년간 연평균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익 성장의 핵심은 리튬이온 분리막 매출 확대로 분석했다.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며, SK아이이테크놀로지 주가도 우상향 곡선을 그릴것으로 내다봤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향후 3년간(2020~2023년) 영업이익 연평균 성장률(CAGR)은 49%를 기록할 것이다. 이익 성장의 핵심은 리튬이온 분리막 매출 확대며 영업이익이 향후 5년간 연평균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습식 전기차(EV) 분리막 시장의 가파른 성장이 전망된다. 전방 산업체인 EV 배터리 사장이 향후 10년간 연평균 34% 성장할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습식 분리막 시장의 확대가 예상된다. SK이노베이션(096770) 배..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전기차 폭발적 수요로 호실적 전망

분리막을 생산하는 배터리 소재 기업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SKIET)에 대해 전기차의 폭발적 수요로 호실적이 전망된다. 동사의 내년 추정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2배 증가한 3809억원으로 예상했다. 내년은 유럽·중국 분리막 공장이 완전 가동될 시기며 동사의 공격적인 증설로 2025년까지 매출액은 연평균 43%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전기차 시장은 판매량 확대로 폭발적인 수요가 전망된다. 올해 전기차용 2차전지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해 연초 전망치를 61% 웃돌 것이며 분리막 산업은 급증하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제한적이다. 2023년까지 전기차용 습식 분리막 수요는 연평균 52% 증가가 예상되지만 Tier-1(티어1) 분리막 업체 생산능력은 25% 증가에 그칠 것이란 판..

천보, 하반기부터 본격적 성장 기대

천보(278280)에 대해 작년 4분기 이후 정체 국면이었던 이익 규모가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천보의 이익 성장 전망에 대해 원재료 가격 상승을 반영한 후행적인 판가 인상과 증설한 공장 가동의 본격화 덕분이며 하반기 가격과 물량 모두 우호적인 영업환경으로 수익성 역시도 회복이 가능할 것이다. 천보의 2분기 영업이익은 1년 전에 비해 52% 증가한 96억원이다. 원료 가격 상승으로 2차전지 소재 사업의 수익성은 소폭 둔화됐지만, 매출 성장을 통해 이익 규모를 만회했다. 천보가 공격적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데도 주목했다. LiFSI는 안전성과 수명 등의 측면에서 배터리 성능에 기여하는 프리미엄 소재로 현재 소량 혼합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범용 제품과의 가격 차이가 크게 줄어들면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