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G전자 140

LG전자, 로보스타 최대주주 된다

LG전자(066570)가 코스닥 상장사인 국내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로보스타(090360)의 최대주주가 된다. 그동안 가정용·상업용 로봇 사업을 벌여온 데 이어 산업용 로봇 시장에 첫 진출을 하는 것이다. LG전자는 오는 7월 중 로보스타가 실시하는 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20%를 취득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주식 수는 보통주 195만주, 투자금액은 약 536억원이다. 이후 내년 말까지 로보스타 경영진 보유 지분 가운데 일부인 13.4%를 추가 인수해 지분율을 33.4%로 늘릴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LG전자가 로보스타의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지난 1999년에 설립된 로보스타는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반도체·자동차 등의 생산공정에서 주..

2018년 5월 8일 (화) 주요이슈

* 뉴욕증시, 5/7(현지시간) 이란 핵협정 관망세 속 상승 마감… 다우 +94.81(+0.39%) 24,357.32, 나스닥 +55.60(+0.77%) 7,265.21, S&P500 2,672.63(+0.35%), 필라델피아반도체 1,308.48(+0.91%) * 국제유가($,배럴), 미국의 이란 핵 협정 파기 우려 등에 상승 … WTI +1.01(+1.45%) 70.73, 브렌트유 +1.30(+1.74%) 76.17 * 국제금($,온스), 달러 강세에 하락... Gold -0.60(-0.04%) 1,314.10 * 달러 index, 유가 상승 등으로 강세... +0.19(+0.21%) 92.76 * 역외환율(원/달러), +5.18(+0.48%) 1,080.02 * 유럽증시, 영국(노동절로 휴장), 독..

주요이슈 2018.05.08

에스엘, LG전자의 ZWK 인수 부정적 영향 주지 않을 전망

자동차 부품업체 에스엘(005850)에 대해 LG전자의 ZKW 인수가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을 전망이다. ZKW 인수로 인해 고난이도 제어기술 및 알고리즘 설계의 영역을 담당하는 헤드램프 업체의 역할이 시장에서 크게 부각된 것이라고 판단했다. 현재 ZKW가 주로 공급하고 있는 다임러, BMW, 롤스로이스 등의 하이엔드 시장은 대부분 유럽에 편중돼 있다. 반면 에스엘의 경우 이미 헬라(Hella)와의 기술 파트너십 보존 등과 중장기적으로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및 중국 로컬업체 등을 중심으로 매출 확대를 전략으로 삼고 있어 ZKW와 직접적인 마찰은 없다. LG전자는 자동차 부품사업 강화를 위해 글로벌 헤드램프 업체인 ZKW의 인수를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에 있었던 발레오(Valeo)의 이치코(..

LG전자, ZKW인수 가능성 높아...신성장 엔진 강화

LG전자(066570)에 대해 최대 차량용 헤드라이트 및 조명 공급업체인 오스트리아 ZKW의 인수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인수로 신성장 엔진을 강화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LG전자가 ZKW를 인수하면 신성장 사업의 경쟁력 확보, 종전 전장부품(VC) 사업 및 그룹관계사간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스마트폰 수요가 정체를 보인 가운데 자동차 시장이 자율주행, 전기자동차로 전환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신규 고객 확보 및 초기 시장(전장부품) 선점을 위해 ZKW 등 해외 전장업체 인수는 경쟁력 확대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최종적으로 ZKW를 인수하면 ZKW가 확보한 자동차 및 부품 고객사를 대상으로 LG전자, LG이노텍(카메라모듈, LED), LG화학(자동차용 중대형전지), LG디스플레이(플렉서블 OLED) 등..

LG전자, 1분기 시장 기대치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

LG전자(066570)에 대해 올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올렸다. LG전자는 1분기 15조1000억원의 매출과 1조1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와 20% 늘었다. 앞서 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는 LG전자의 올 1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로 매출 15조2055억원, 영업이익 8295억원을 제시했다. 호실적의 원동력은 프리미엄 TV와 국내 가전 판매며 프리미엄 제품인 초과화질(UHD) TV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의 매출 비중은 1분기 60% 후반까지 상승했다. 올해 내내 실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봤다. 전 사업부의 영업 상황이 견조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판단해서다.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3조2000억원..

LG전자, 1분기 기준 사상 최고 실적

LG전자(066570)가 올해 1분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분기별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증권업계에서 예상한 실적 전망치를 넘어선 ‘어닝 서프라이즈’다. LG전자는 올해 1분기 잠정 실적으로 매출 15조1283억원, 영업이익 1조78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와 20.2% 늘었다. 지난 2009년 2분기에 기록했던 역대 최고치인 1조2400억원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35분기만에 분기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2번째 성적을 거뒀다. 1분기 기준으로는 사상최고치다. LG전자 실적 상승은 TV와 가전 사업에서 모두 두 자리 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정도로 선전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 사업 적자폭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

2018년 4월 4일 (수) 주요이슈

* 뉴욕증시, 4/3(현지시간) 기술주 반등 속 1% 넘게 상승… 다우 +389.17(+1.65%) 24,033.36, 나스닥 +71.16(+1.04%) 6,941.28, S&P500 2,614.45(+1.26%), 필라델피아반도체 1,302.09(+1.96%) * 국제유가($,배럴), 美 증시 반등 영향 등에 상승 … WTI +0.50(+0.79%) 63.51, 브렌트유 +0.48(+0.71%) 68.12 * 국제금($,온스), 달러화 강세 및 증시 반등에 하락... Gold -9.60(-0.71%) 1,337.30 * 달러 index, 美 증시 상승 속 상승... +0.14(+0.16%) 90.19 * 역외환율(원/달러), -3.18(-0.30%) 1,055.12 * 유럽증시, 영국(-0.37%), ..

주요이슈 2018.04.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