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C 24

SKC, 중장기 성장에 주목할 시점

SKC(011790)는 2017년 이후 중장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SKC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8% 줄어든 5810억원, 영업이익은 29% 하락한 422억원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필름부문 인력효율화 작업에 따른 비용이 약 80억원 발생하면서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했기 때문이다. 반면 화학부문은 경조한 PO 수급과 PG 수요 영향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고, 자회사들의 흑자전환과 실적 개선에 따라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호전됐다. 3분기는 적자폭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며 필름부문 인력효율화 작업이 지속됨에 따른 비용이 250억원 이상 발생할 것으로 추정돼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52% 감소한 264억원으로 예상한다. 다만 필름부문 인력효율화 작업이 끝나면 200억원 ..

바이오랜드, 식품 원료 부문 매출 확대

바이오랜드(052260)의 2016년1분기 실적이 예상치에 부합했다.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245억원을, 영업이익은 16% 감소한 38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정부의 단속과 일부 중국 고객들의 재고 부담으로 화장품 원료 부문의 매출이 감소했다. 이에 반해 식품 원료 부문의 매출액은 백수오 대체제 수요 확대와 헛개열매 홍삼 등의 주문 증가로 74억원을 기록, 추정치 58억원을 27% 상회했다. 기존에는 현금창출 사업부인 화장품 원료를 중심으로 성장했는데 건강기능 식품원료 중심으로 매출이 확대되는 식품 원료와 마스크팩을 영위하는 의료기기가 올해 핵심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1분기 식품 원료 부문이 분기 사상 처음으로 70억원 이상의 매출액을 달성한 점은 고무적이며 2분기에도 긍정적인..

바이오랜드, 국내 천연화장품 원료 업계 1위

국내 천연화장품 원료 업계 1위업체로 SK핵심계열사로 편입돼 SKC가 구축해 놓은 해외채널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다. 바이오랜드(052260)는 그동안 구축한 천연물원료 경쟁력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중국시장 진출을 진행 중이다. 모기업 SKC의 글로벌 채널을 기반으로 중국, 북남미, 동남아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해 갈 계획이다. 동사는 화장품과 식품, 의약, 의료기기 등 다양한 전방산업을 바탕으로 실적 안정성과 성장성을 모두 확보했다. 매출액에서 화장품원료는 58%, 기능성식품원료 23%, 의약품원료 5%, 의료기기 8%, 마스크팩 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 2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