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트럼프 취임 후 첫 거래일을 맞아 관세 우려 완화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고, 일본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우려가 완화되는 모습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관세 우려가 완화된 점이 뉴욕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전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가운데, 관세 부과의 원칙만 확인했을 뿐, 예상과 달리 관세 정책 강도가 강하지 않아 안도감이 형성되는 모습입니다. 전일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한 트럼프 대통령은 국경/에너지 등 수십개 행정명령을 쏟아냈지만, 기존 무역협정을 전부 재검토하라고 지시하면서도 신규 관세 조치는 일단 보류했습니다. 특히, 모든 수입품에 대한 보편관세 10~20% 부과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멕시코, 캐나다에 예고한 25% 관세 부과는 2월1일자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중국에 대해서는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매각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협상의 여지를 남겨뒀습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우려로 관세를 점진적으로 부과할 것으로 전망하는 모습입니다.
골드만삭스의 알렉스 필립스 미국 수석 정치경제학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일 관세 정책 발표는 예상보다 온건했다"며, "지금으로선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관세 정책의) 우선순위가 낮다"고 분석했습니다. 제프리스 인터내셔널의 모히트 쿠마르 전략가는 "규제완화와 관세가 우려했던 만큼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위험자산이 수혜를 볼 것이며, 관세 부담 완화, 유가 하락 전망도 (채권) 금리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그간 '트럼플레이션(트럼프 정책이 초래하는 물가 상승)' 우려로 치솟았던 美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동부시간 오후 3시 기준 글로벌 벤치마크인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직전 거래일인 지난 17일보다 3.60bp 하락한 4.574%에 거래됐으며, 30년물 국채금리는 4.802%로 4.30bp 하락했습니다. 다만,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4.281%로 0.70bp 상승했습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 보다 1.23% 하락한 108.0을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민간 기업의 AI 신규 투자 발표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CBS 방송 등 주요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후 백악관에서 일본 소프트뱅크, 오픈AI, 오라클이 주도하는 최대 5,000억달러(약 718조원) 규모의 신규 AI 투자 계획을 발표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들 3개사는 ' 스타게이트'라는 AI 인프라 합작사를 설립해 초기에 1,000억달러(약 144조원), 향후 4년 동안 최대 5,000억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전해졌으며, AI 규제 완화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날 국제유가는 트럼프 관세위협, 美 증산 계획 등에 급락했습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99달러(-2.56%) 급락한 75.89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美 채권시장은 관세 우려 완화, 유가 급락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우려가 완화되는 모습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4거래일만에 반등했습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해 11월 8일 이후 두 달 반만에 2,540선을 회복했으며, 종가기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강세 및 트럼프 AI 인프라 투자 소식 등에 삼성전자(+1.50%), SK하이닉스(+3.44%), 한미반도체(+11.00%) 등 반도체, HD현대일렉트릭(+4.29%), 일진전기(+8.91%), 효성중공업(+8.58%), LS ELECTRIC(+3.62%)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상승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1.55%), SK이 노베이션(+2.65%), LG화학(+2.29%), 삼성SDI(+2.35%), 포스코퓨처엠(+3.56%), 엘앤에프(+3.18%) 등 전일 큰 폭으로 하락했던 2차전지 관련주들은 트럼프發 우려 과도 분석 등에 상승했습니다. 티웨이홀딩스(+18.39%)는 경영권 분쟁 이슈 지속 등에 이틀째 급등, 티웨이항공(+1.19%)도 상승했습니다.
코스닥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 완화 등이 증시 전반에 훈풍으로 작용하며,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상승했습니다.
HPSP(+1.08%), 리노공업(+0.46%), 이오테크닉스(+4.46%), 테크윙(+4.84%), 피에스케이홀딩스(+11.36%), 오로스테크놀로지(+5.62%) 등 반도체, 우리로(+29.99%), 아이윈플러스(+29.98%), 케이씨에스(+14.53%), 한국정보인증(+14.07%) 등 양자, 코난테크놀로지(+9.13%), 데이타솔루션(+5.15%), 솔트룩스(+4.45%) 등 AI 관련주들이 상승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3.57%), 에코프로(+3.28%), 천보(+2.09%), 에코앤드림(+1.33%) 등 2차전지 관련주도 상승했습니다. 빛과전자(+29.96%)는 양방향 100Gb/s 전송 기술 개발 완료 소식 등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HBM 수율 개선 핵심 소재 '스프링 핀' 개발 및 대량 생산 소식 등에 오킨스전자(+27.86%)가 급등했습니다.
'오늘의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24일 (금) 주식시황 (2) | 2025.01.24 |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23일 (목) 주식시황 (2) | 2025.01.23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20일 (월) 주식시황 (2) | 2025.01.20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17일 (금) 주식시황 (0) | 2025.01.17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16일 (목) 주식시황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