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대규모 AI 투자 기대감 지속 및 넷플릭스 실적 호조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긴 설 연휴를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하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2거래일째를 맞이한 가운데, 관세 우려 완화, 대규모 AI 투자 기대감이 연일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지난 20일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한 트럼프 대통령은 국경/에너지 등 수십개 행정명령을 쏟아냈지만, 기존 무역협정을 전부 재검토하라고 지시하면서도 신규 관세 조치는 일단 보류했습니다. 모든 수입품에 대한 보편관세 10~20% 부과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멕시코, 캐나다에 예고한 25% 관세 부과는 2월1일자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중국산 수입품에도 10% 추가 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우려로 관세를 점진적으로 부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 대한 관세 발언도 제한적이고 절제된 조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 '스타게이트'로 명명된 최소 5,00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AI 프로젝트 출범을 발표했습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 매출 규모 세계 2위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 일본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소프트뱅크' 3사가 합작사를 설립하고, 미국 정부 지지를 받는 AI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입니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도 협력사로 참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넷플릭스의 실적 호조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02억4,700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4분기 순이익은 18억6,900만 달러, 주당순이익(EPS)은 4.27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모두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아울러 글로벌 유료 가입자 수는 지난해 4분기에 1,891만 명 순증하며 총 3억163만명을 기록했습니다. 넷플릭스 가입자 수가 3억명을 돌파한 것은 사상 최초입니다. 이어 넷플릭스는 미국 내에서 요금제를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광고가 붙지 않는 미국 기본 요금제의 월 이용료는 기존 15.49달러에서 17.99달러로 올라갈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 JP모건과 모건스탠리 등은 넷플릭스의 목표가격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특히, JP모건의 더그 안무스 분석가는 "두 자릿수 매출 성장세가 건강하고 운영 마진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강력한 스트리밍 리더십과 회원 기반도 강해지는 중"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날 국제유가는 트럼프 석유 증산예고 여파 지속 등에 하락했습니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39달러(-0.51%) 하락한 75.4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美 채권시장은 트럼프 관세정책 행보 주시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소폭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긴 설 연휴를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금리와 달러-원 환율 상승 등으로 외국인 순매도를 촉발시키며 코스피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지난해 성장률이 부진하게 발표된 점도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4년 4분기 GDP 성장률은 0.1%로 집계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1월말 한국은행이 전망했던 4분기 성장률(0.5%)의 5분의 1 수준입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민간소비 및 건설투자 등 내수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2.0% 성장하며 당초 전망치(2.2%)를 0.2%P 하회했습니다.
개장 전 사상 최대 실적을 발표한 SK하이닉스(-2.66%)는 실적 발표 후 셀온 물량 출회 등에 하락했으며, 지난밤 갤럭시 언팩 행사 개최한 삼성전자(-1.10%)도 하락했습니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한미 조선업 협력 및 LNG 투자 확대 기대감 등 정책 수혜 기대감으로 시장에서 부각됐던 한화오션(-2.65%), HD한국조선해양(-6.22%), HD현대중공업(-5.89%), 삼성중공업(-4.29%), HJ중공업(-7.80%), HD현대마린솔루션(-11.52%), STX엔진(-7.84%)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하락했습니다. 전기차 성장률 둔화 전망 등에 LG에너지솔루션(-1.81%), 삼성SDI(-2.92%), 포스코퓨처엠(-1.99%) 엘앤에프(-4.74%)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도 하락했습니다.
코스닥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하루만에 재차 반락했습니다. 긴 설 연휴를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에코프로(-2.86%), 엔켐(-4.22%), 피엔티(-3.71%), 나노신소재(-2.35%), 중앙첨단소재(-5.00%) 등 2차전지, HPSP(-5.03%), 리노공업(-2.28%), 이오테크닉스(-3.60%), 테크윙(-2.88%), ISC(-3.40%), 피에스케이홀딩스(-6.09%), 원익IPS(-4.51%), 오킨스전자(-12.71%)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했습니다.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하락 등에 케이씨에스(-7.35%), 엑스게이트(-6.72%), 아이씨티케이(-5.55%)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도 하락했습니다. 금일 신규상장한 미트박스(-25.26%)는 급락했습니다.
'오늘의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31일 (금) 주식시황 (2) | 2025.01.31 |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24일 (금) 주식시황 (2) | 2025.01.24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22일 (수) 주식시황 (4) | 2025.01.22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20일 (월) 주식시황 (2) | 2025.01.20 |
[블루오션스탁] 2025년 1월 17일 (금) 주식시황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