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율주행 43

LG이노텍, 자율주행 시장 확대 수혜주

LG이노텍(011070)이 글로벌 부품 경쟁사와 비교할 때 중장기 관점에서 시가 총액 10조원(42만원) 이상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했다. LG이노텍 전체 매출의 78%를 차지(11조원)하는 애플의 향후 5년간 중장기 성장 로드맵이 탄탄하고, 자율주행차 부품의 출하 확대로 내년 하반기 전장부품 사업의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 LG이노텍은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재 P/E 7.8배 수준의 내년 밸류에이션을 고려할 때 향후 추가 상승 여력은 충분할 전망이다. 현재 10조원 규모의 수주잔고를 확보한 LG이노텍의 전장부품 사업부는 향후 자율주행차 시장 확대 최대 수혜주로 판단된다. 이는 LG이노텍이 자율주행차 핵심부품(라이다, 레이더, V2X모듈, 모터센서, 카메라)을 글로벌 자동차 15개 업체에 이미..

[블루오션스탁] 2021년 11월 22일 (월) 주식시황

뉴욕 증시는 인플레이션 및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에도 일부 기술주 강세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코로나19 재확산 속 재봉쇄 우려 등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으며, 일본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에도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등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코스피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속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진 점이 뉴욕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오스트리아 방역 당국은 오는 22일(현지시간)부터 전국 봉쇄에 들어간다고 밝혔으며, 상황에 따라 전국 봉쇄령 10일..

오늘의 시황 2021.11.22

LG이노텍, 애플 XR 출시 최대 수혜 기대

LG이노텍(011070)에 대해 애플의 메타버스 하드웨어 기기와 애플카의 핵심 부품의 납품이 추정돼 최대 수혜주로 판단된다. 내년 애플의 메타버스 하드웨어 XR(확장현실) 기기 출시와 2025년 애플카 출시가 전망된다. 이에 따른 광학솔루션과 전장부품의 공급 가능성 확대로 향후 재평가 국면에 진입할 것이다. 특히 XR기기 시장에 주목했다. 스마트폰의 초기 시장의 높은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 애플카 부품 공급 가능성에 대해 LG이노텍은 자율주행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모터센서, 라이다, 카메라, 통신모듈 등을 글로벌 자동차 업체 15개 이상에 공급 중이며 이미 검증된 아이폰 공급업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애플카 공급망 진입 역량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LG이노텍은 내년 연간으로 매출 15조1000억원,..

유니퀘스트, 2분기 컨세서스 상회 호실적...3분기도 성장 기대

유니퀘스트(077500)는 올해 2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2021년 2분기 영업이익은 63억원으로 전년 동기 22억원 대비 2배(184%) 급증했고 시장 기대치를 31% 상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한 1454억원, 지배지분 순이익은 약 3배 가까이 늘어난 114억원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사업 부문을 제외한 전 사업 부문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 네트워크 부문 매출(413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했다. Digital Home(매출액 296억원)과 Automotive(매출액 287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7%, 95% 늘었다. 다만 모바일 다바이스는 2020년 무선 이어폰 매출 호조의 역기저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줄었다. 반도체..

인크로스, 디지털 광고 시장 호조...2분기 실적 개선 기대

인크로스(216050)에 대해 국내 광고 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만큼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도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중장기적으로도 디지털 광고 시장은 ‘메타버스’ 등 다양한 테마와 맞물려 성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2분기 인크로스의 추정 매출액은 123억원, 영업이익은 50억원이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8%, 26.8%씩 늘어난다는 예상이며, 이는 2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이기도 하다. 이러한 호실적은 디지털 광고 사업부문인 ‘미디어렙’이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체 매출액 중 95억원이 미디어렙에서 나오고, 이는 곧 디지털 광고의 성장 추세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요소다. 인력 충원, 판관비 등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탑라인 개선이 더욱 우호적인 상황이다...

유니퀘스트, 반도체와 자율주행·차량관제 시스템 사업 모두 긍정적

유니퀘스트(077500)에 대해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과 더불어 자율주행·차량관제 시스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만큼 본격적인 성장세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니퀘스트는 지난 1993년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제공, 반도체 유통을 위해 설립됐다. 설립 이후에는 주요 자회사 중 하나인 에이아이매틱스(지분 약 49.9%)를 통해 특수 차량의 자율주행과 차량관제시스템(FMS)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에이아이매틱스는 FMS 업체들에 관련 모듈을 공급하고, 월별로 수수료를 수취하는 구조다. 앞서 유니퀘스트는 지난해 매출액 4028억원, 영업이익 9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2%, 31.3%씩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과 자동차 등 주요 전방산업의 반도체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