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SDI 138

에코프로비엠, 확실한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에코프로비엠(247540)이 확실한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올해 에코프로비엠의 실적이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상반기 IT 기기와 전기차 수요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점이 부담 요인이라는 점에서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주력 고객사인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 소재 출하가 크게 확대되면서 매출 증가와 수익성 개선세가 동시에 나타날 전망이다. 에코프로비엠의 양극재 소재 출하량이 지난해 대비 50% 증가한 2만7000톤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반영한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160억원, 440억원을 기록하며 회복세가 나타날 전망이다. 최근 에코프로비엠은 SK이노베이션과 향후 4년간 약 2조7000억원 규모의 전기차 ..

삼성SDI, 하반기 전기차 배터리 부문 흑자전환

삼성SDI(006400)에 대해 전기차 배터리 부문이 올해 하반기부터는 흑자 전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올해 1분기 삼성SDI의 매출액은 2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4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60%씩 감소한 수치다. 전기차 배터리 부문의 가동률은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지만 매출 반영은 전기차 신차 출시가 본격화되는 2분기 이후에야 가능해 흑자 전환은 3분기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처럼 전기차 배터리 부문의 흑자로 3분기 이후부터는 가파른 성장이 가능하다는 예상이다. 전기차 배터리 부문은 첫 ‘분기 1조원 매출’이 예상되는 3분기부터 흑자 전환이 전망된다. 리튬이온전지 수출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데다가 헝가리 라인 역시 안정적인 가동률 상승이 지속되고 있으며, 유럽 주요 전기차..

삼성SDI, 실적 추정치 하향 불구 주가 저평가 상황

삼성SDI(006400)에 대해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주가 급락으로 저평가된 상황이다. 삼성SDI의 2020년 매출액은 11조원, 영업이익은 9167억원으로 기존 추정치 보다 21.4% 하향조정한다. ESS는 상반기까지는 신규 수주보다는 유지보수에 집중할 것으로 보여 연간 매출은 전년대비와 유사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고, 소형전지도 전동공구 시장 회복이 늦어지면서 판가 하락을 피하긴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ESS로 인한 노이즈보다 유럽 전기차 성장으로 인한 EV배터리 모멘텀을 기대한다. 2020년은 유럽 자동차 업체로선 전기차 판매에 좀 더 집중해야 되는 시기이고 유럽 배터리 시장 의존도가 높은 삼성SDI로서는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2020년 사용 전기차 등장과 소형 ..

삼성SDI, 2020년 전기차 보급에 영업이익 대폭 증가

삼성SDI(006400)에 대해 2020년 영업이익이 대폭 증가할 것이다. 올해 삼성SDI 연간 영업이익은 5000억원을 하회하며 연초 시장 기대치인 9000억원 수준에 크게 못 미칠 전망이다. 4분기 실적은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특수소화시스템 설치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매출 2조9000억원, 영업이익 1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역성장이 예상된다. 2020년 전망치 역시 영업이익 8147억원으로 컨센서스 하락 과정에 있다. 그럼에도 주가는 연초 대비 3% 상승한 수준에서 강한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며 견조한 모습을 보인다. 전체 매출 80%가 배터리 사업에서 발생하는, 동아시아 주요 경쟁사 중 CATL과 함께 유이한 순수 배터리 플레이어라는 점과 2020년 하반기부터 전기차 배터리 부..

삼성SDI, 4분기 실적 부진...소형전지 성장세 둔화

삼성SDI(006400)에 대해 올 4분기 실적은 소형전지 성장세 둔화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비용 반영으로 컨센서스(시장 예상치 평균) 대비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조8000억원과 영업이익 102억원이 예상돼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 95.9% 감소를 기록해 컨센서스를 밑도는 실적을 낼 전망이며 ESS 안전성 강화를 위한 1회성 비용 2000억원이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전망치 역시 하향 조정했다. 소형전지 성장세 둔화가 예상되고 ESS 원가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전망치 하향 조정, 국내 액정표시장치(LCD) 생산라인 조정에 따른 편광필름 수요 부진 및 판가 하락이 반영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유럽연합(EU)가 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을 19..

무선 이어폰 성장, 삼성SDI 아이티엠반도체 등 2차 전지 업체 수혜

무선 이어폰이 향후 이어폰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에 따라 무선 이어폰에 탑재되는 2차 전지 역시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이에 삼성SDI(006400), 아이티엠반도체(084850) 등 관련 기업을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다. 다양한 무선 기기의 등장, 그 중에서도 무선 이어폰이 2차 전지의 수요 성장 기대치를 높이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무선 이어폰 시장은 지난 2018년 4600만대에서 올해 1억2000만대, 내년 2억3000억대로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 이어폰의 시장 확대는 2차 전지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무선 이어폰의 사용 시간 확대 요구로 인해 적용되는 2차 전지의 용량이 증가할 것을 감안하면 무선 이어폰용..

삼성SDI, 2020년 ESS 매출 본격화... 가파른 실적 성장 전망

삼성SDI(006400)에 대해 2020년 실적 상승이 기대된다. 내년 삼성SDI의 실적은 매출 11조원, 영업이익 9849억원으로 가파른 실적 성장이 전망된다. 2020년부터 해외 에너지 저장장치(ESS) 매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해외 ESS 매출은 전년 대비 41% 증가할 것이다. 4대 핵심 소재(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평균 가격이 전년 대비 12% 하락한 상황에서 향후 공급 증가로 인한 하락세는 지속되며 중대형 전지 부문 수익성 개선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내년 유럽연합(EU)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강화 속에서 친환경차 비중 확대를 통해 벌금 규모 최소화 하려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들의 전기차 신차 출시가 가속화될 것이다. 특히 가격 경쟁력을 갖춘 3만 달러대 전기차 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