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SDI 138

삼성SDI, 하반기부터 실적 성장 기대

삼성SDI(006400)에 대해 하반기부터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올해 실적은 매출 10조4000억원, 영업이익 7680억원으로 전년 대비 견조한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며 3분기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 재개 및 전기차 배터리 신제품 출하에 따른 가파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분기 흑자 전환 이후 3분기부터 애플향 신제품 공급에 돌입하면서 큰 폭의 실적이 전망되며 이에 따라 지분법이익 역시 하반기부터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서 경쟁사들이 폭스바겐, 지리자동차 등 미들 엔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과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하고 있으나 삼성SDI는 하이엔드 OEM 업체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중장기 수익성 관점에서 유효한 전략..

서진시스템, 5G에 자동차 부문 매출까지 본격화

서진시스템(178320)에 대해 5G 통신장비에 이어 자동차 부문 매출까지 본격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통신장비 부품의 매출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며, 연간 실적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 4월 초부터 상용화가 진행된 국내 5G 서비스 관련 매출이 올해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하반기부터 미국향 일부 물량 공급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어 내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일본에서도 올해 하반기에 5G 관련 매출이 일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다 인도 릴라이언스향 4G 장비도 전년보다 많은 수주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5G에 이어 자동차 부문의 매출까지 본격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지난해 약 453억원의 자동차부품을 포함한 기타 매출액이 올해는 약 900억원..

삼성SDI, 하반기 북미 OLED 공급 확대 및 ESS 정상화 예상

삼성SDI(006400)에 대해 하반기에 북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급 확대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정상화 등이 예상된다. 2분기 삼성SDI의 예상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한 1318억원일 것으로 예상했다. 종전 추정치보다 많은 액수다. 전자재료, 원형전자(소형전지) 가동률 상승 등으로 낙폭을 줄이려 했다. 2분기 매출액은 2조38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 포인트는 3분기, 4분기 이익 증가 여부다. 예상대로라면 영업이익이 3분기 2230억원, 4분기 2994억원으로 늘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전자재료 가동률 상승 진입 가능성이 크다. 북미 시장에서 신모델을 만들고 있는 OLED 소재 공급 물량 확대 여부가 관건이다. 반도체 출하량은 가격 ..

삼성SDI, 하반기 ESS 발주 본격화로 실적 개선 기대

삼성SDI(006400)에 대해 하반기 에너지저장장치(ESS) 발주 본격화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하반기는 상반기에 지연된 ESS 발주 본격화로 삼성SDI의 중대형 전지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ESS 매출은 상반기 3496억원에서 하반기 5818억원으로 66.42%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소형전지의 변화도 긍정적이며 원형전지는 전기자동차(EV)향 공급을 시작으로 응용 분야 확대 속에 무선청소기 등 모빌리티 기능을 추구한 시장 변화도 추가적인 성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SDI 올해 전체 영업이익은 7345억원으로 전년보다 2.80% 증가할 것이며 EV 시장의 성장 초기 및 2차전지 업체 가운데 소형, 중대형 전지를 보유한 포트폴리오 차별화가 경쟁력으로 평가된다. -----------------..

에스에프에이, 하반기 국내외 물류장비 수주 기대

에스에프에이(056190)에 대해 올 하반기에는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로부터 물류장비 신규 수주가 늘어나고, 국내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들의 공장 확대로 인한 수혜도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에스에프에이는 올 하반기에만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로부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공장에 쓰이는 클린물류 장비 수주규모가 월 평균 1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중국 신규 수주의 본격화가 예상된다. 또 3분기부터 삼성디스플레이 퀀텀닷(QD) OLED 전환투자와 애플 A3 라인의 와이옥타(터치 스크린 패널) 투자도 시작될 것이며 삼성SDI(006400), SK이노베이션(096770) 등이 미국, 중국 등에서 전기차 배터리 신규공장을 확대하면서 일반물류 장비의 신규 수주도 전년 대비 2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에스에프..

삼성SDI, 중대형 전지 질적 도약 기대

삼성SDI(006400)에 대해 하반기 중대형 전지가 흑자 전환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차전지의 전망이 밝다. 하반기 중대형 전지가 흑자 전환하고 내년에는 자동차 전지만으로도 흑자전환을 시도할 전망이다. 정부는 다음 주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강화된 안전 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 발표를 계기로 대기 수요가 발주로 이어질 것이며 각형 폼팩터의 안전성이 부각되면 삼성SDI의 지배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 시장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올해 글로벌 ESS 시장은 전년 대비 38% 성장한 16GWh로 전망된다. 미국과 호주의 고성장이 돋보일 것이며 미국은 대규모 전력용 프로젝트가 확산되고, ESS에 대한 세액 공제 혜택을 늘리고 있다. 호주는 자연 재해 등으로 전력 수급이 불안정해 ESS 설치..

삼성SDI, 中 전기차 배터리 시장 진출 기대

삼성SDI(006400)에 대해 3년 만에 열리는 중국 시장 진출에 기대를 걸어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삼성SDI의 올해 1분기(1~3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2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51% 증가한 109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밑돌 전망이다. 지난해 ESS(에너지저장시스템) 화재 사고 이후 신규 프로젝트 진행이 중단되면서 관련 배터리 매출이 급감한 것이 원인이다. 다만 3년 만에 이뤄지는 중국시장 진출은 긍정적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공신부가 발표한 신재생 에너지 신차 목록에 삼성SDI가 배터리를 공급하는 중국 업체가 목록에 포함됐다. 2016년 6월 중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급 업체 인증 제도인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준 인증’에서 삼성SDI 등 국내 업체들이 인증에 실패하며 중국 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