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SDI 138

삼성SDI, 전기차 성장 모멘텀 가시화

삼성SDI(006400)에 대해 전기차 성장 모멘텀이 가시화되고 있다. 삼성SDI의 올 3분기 매출액은 2조5200억원, 영업이익은 20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7.8%, 246.7% 늘어날 전망이며 부문별 영업이익은 소형전지 1328억원, 중대형전지 4억원, 전자재료 753억원으로 추정된다. 국내 및 해외 전력용 ESS 판매 증가와 신규 전기차(EV) 및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량(PHEV)향 배터리 공급 본격화, 하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폴리머 전지 및 전자재료 공급 확대, 고마진 원통형 애플리케이션 다변화 등이 실적 개선의 주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리튬이온전지가 전기차를 시작으로 드론, 모빌리티, 가든 툴과 같은 생활용 전동공구로 활용처가 확대되면서 소형전지의 실적 고성장세가 나타..

2018년 9월 14일 (금) 주요이슈

* 뉴욕증시, 9/13(현지시간)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및 기술주 반등 등으로 상승… 다우 +147.07(+0.57%) 26,145.99, 나스닥 +59.48(+0.75%) 8,013.71, S&P500 2,904.18(+0.53%), 필라델피아반도체 1,362.20(+1.20%) * 국제유가($,배럴), 원유 생산량 증가 등으로 급락… WTI -1.78(-2.53%) 68.59, 브렌트유 -1.56(-1.96%) 78.18 * 국제금($,온스), 美/中 무역협상 재개 기대감이 낮아지며 하락... Gold -2.70(-0.22%) 1,208.20 * 달러 index, 美 소비자물가지수 시장 예상치 하회 등으로 하락... -0.25(-0.27%) 94.54 * 역외환율(원/달러), +0.15(+0.01%)..

주요이슈 2018.09.14

삼성SDI,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삼성SDI(0006400)에 대해 전기차 시장 등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고 판단,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고 평가했다. 향후 삼성SDI는 원재료 가격 하락 안정세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고 이제 시작에 불과한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과 2019~2020년 소프트뱅크의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시행으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새로운 수주 기회가 열릴 것이다. 이와 함께 5세대(G) 이동통신 시대가 도래하면서 통신속도가 빨라지고 기기간 연결이 늘어나 모바일 기기들의 전력 소모가 상승하게 되는 점 역시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2020년부터는 전기차용 원형 전지 출하가 본격화되면서 삼성SDI의 실적에서 현금창출 역할을 하고 있는 소형 이차전지 부문 실적도 지속 성장이 기대된다. 이를..

삼성SDI,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

삼성SDI(006400)의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가 예상된다. 삼성SDI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9% 증가한 2조6120억원, 영업이익은 250.5% 늘어난 2110억원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1840억원)를 상회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갤럭시노트9 등 신규 스마트폰 출시로 소형 배터리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17.7% 증가했고 삼성디스플레이 OLED라인 가동률이 전분기 대비 17%포인트 늘었으며 OLED 소재 및 편광판 등 전자재료 사업부 매출액도 전분기 대비 9.4% 증가했다. 특히 전기차와 ESS용 대형 배터리 매출액 증가(전 분기 대비 15.1%)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과 중국은 글로벌 자율주행 기반 전기차 시장의 헤게모니 장악을 위해서 치열한 ..

두산, 전기차 베터리용 전지박 사업 추진 발표

두산(000150)은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용 전지박 사업 추진을 발표했다. 전지박은 전기차용 배터리의 음극 소재 중 하나로 유럽에 카파(Capa) 증설을 계획한 삼성SDI, SK이노베이션, LG화학 등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헝가리 소재 전지박 생산 법인을 설립하고 올해 말부터 착공을 예정하고 있다. 현 투자 예상금액은 약 1500억원으로 1차 목표인 1만톤 Capa 확보시 연 1500억원대 매출이 예상되는데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고 성장성과 국내 업체의 잇따른 유럽 공장 설립 추세를 감안해 5만톤 Capa로의 증설까지도 계획 중이다. 일진머티리얼즈 등 유사업체의 이익률을 고려하면 두산의 자체사업 영업이익 레벨은 한층 레벨업될 것으로 전망된다. 상반기 중 한화대산, 남부 신인천 2차, 서부..

삼성SDI, 원재료 가격은 하락 판가는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 전망

삼성SDI(006400)에 대해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는데 판가는 상승하는 구간에 접어들었다.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3월 이후 원재료가격이 안정화 구간에 진입했다. 2분기부터 안정화되기 시작한 원재료 가격은 하반기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원통형 중심으로 배터리 공급부족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판가는 상승한다. 3분기 하이엔드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제품 믹스 개선도 가능하고 3분기 중대형 전지 흑자기조가 유지될 것이다. ---------------------------------------------------------------------------------------------"블루오션스탁"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이용자에..

삼성SDI, ESS와 원형전지 업황 호조로 실적 성장 전망

삼성SDI(006400)에 대해 ESS와 원형전지 업황 호조로 실적 성장이 전망된다. 2분기 영업이익은 150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09% 증가하면서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할 전망이며 3분기 영업이익은 1911억원으로 개선되고, 연간 영업이익은 6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2분기부터 중대형전지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고 하반기에 흑자 기조에 안착할 것이며 ESS, Non-IT용 원형전지, 자동차전지의 성장세는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ESS는 강력한 내수 특수 속에서 여전히 우호적인 영업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정부가 태양광 연계 ESS REC 가중치를 2019년말까지 5.0으로 유지하기로 했고 삼성전자의 대규모 태양광 발전 투자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계열사 수요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