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한양행 43

[블루오션스탁] 2024년 8월 21일 (수)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파월 의장 잭슨홀 연설 대기 및 차익매물 출회와 고용 수정치 경계감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동반 하락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파월 Fed 의장 잭슨홀 연설 대기 등 주요 이벤트를 앞둔 경계감 속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번주 최대 이벤트인 파월 Fed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앞둔 가운데, 최근 지수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숨고르기 장세를 보였습니다. 오는 23일 파월 Fed 의장은 잭슨홀 경제정책심포지엄에서 경제 전망과 관련한 기조연설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연설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열리기 전 파월 의장의 마지막 연설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

오늘의 시황 2024.08.21

유한양행, 국내 첫 항암제 美 FDA 승인...상업화 성공 기대감

유한양행(000100)은 레이저티닙 및 아미반타맘 병용요법인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하면서, 국내 최초로 빅파마 기술 이전 후 글로벌 상업화를 성공하는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8월20일 얀센의 레이저티닙 및 아미반타맙 병용 용법인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FDA 승인을 받았다. 유한양행은 첫 환자 투약 시점에 미국 출시 마일스톤을 얀센으로부터 수령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매출 발행 시 러닝 로열티를 수령할 예정이다.  정확한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 출시 마일스톤의 경우 이르면 올 3분기 내 수령도 가능할 것이란 판단이다. 러닝 로열티는 늦어도 내년 상반기 수령이 시작될 것으로 봤다.  이번 FDA 승인은 유한양행의 오랜 연구개..

유한양행, 하반기 렉라자 병용 美 FDA 승인 전망

유한양행(000100)에 대해 올해 유한화학 증설, 렉라자 1차 치료 보험 적용 등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렉라자 병용의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 등 하반기 갈수록 부각될 모멘텀도 다수다. 올해 연결 매출액은 2조1574억원, 영업이익 963억원으로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15%, 74% 증가할 전망이다. 실적 개선 주요 요인으로 실적 기저효과, 렉라자 국내 1차 치료제 보험 적용, 유한화학 공급 개시 등이 있다. 렉라자 EAP 비용이 작년 말로 종료됐고, 국내 폐암 1차 치료제 보험 적용돼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기저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유한화학의 화성공장이 작년 11월 준공돼 조만간 상업생산 개시로 인한 실적 개선도 기대된다. 지난 12월 FDA에 폐암 1차 치료제로 렉라자 병용..

[블루오션스탁] 2023년 10월 18일 (수)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기업 실적 호조에도 예상보다 강한 소매판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으며, 일본 증시는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이스라엘-하마스 간 전쟁 지속, 美 국채금리 급등 등 대외 불확실성 지속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개장 전 발표된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국채금리가 급등한 점이 뉴욕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美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9월 소매판매는 계절조정 기준 전월 대비 0.7% 증가한 7,049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6개월 연속 상승한 수치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0.3% 증가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전월 수치도 0.6% 증가에서 0.8% 증..

오늘의 시황 2023.10.18

유한양행, 1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부합...레이저티닙 기대감

유한양행(000100)에 대해 올해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와 140% 증가한 4588억원과 147억원으로 예상했다. 생활유통 부분에서 1분기까지 프로바이오틱스 품목 조정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봤다. 그러나 일반의약품 573억원(전년 대비 11% 증가), 처방의약품 2685억원(11%), 해외 사업부 615억원(+10%) 등이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2023년 예상되는 주요 연구개발 동력(모멘텀)으로는 타그리소와 직접 비교하는 레이저티닙 병용 3상 등을 꼽았다. EGFR 돌연변이 양성 폐암 1차 치료 3상의 중간 분석 결과는 오는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될 가능성이 있..

유한양행, 올해 실적보다 연구개발 성과 기대

유한양행(000100)에 대해 올해는 실적보다 연구개발(R&D) 관련 모멘텀이 기대된다. 유한양행은 2021년 4분기에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4240억원, 영업이익 48억원을 냈다. 전년 대비 각각 8.1%와 82.5% 감소한 수치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 생활건강사업에서는 전년보다 각각 8.5%, 12.2%, 35.6% 증가한 양호한 실적을 냈다. 반면 수출과 기술료수익이 각각 28.5%와 82.8% 크게 감소해, 영업이익률이 1.1%에 그쳤다. 기술료수익이 2020년 4분기보다 644억원 줄었고, 유산균 신제품 ‘와이즈바이옴’과 동물 관련 신사업에 대한 광고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2022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8190억원..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글로벌 신약 기대

유한양행(000100)에 대해 올해 레이저티닙 국내 출시 및 기존 고마진의 개량 신약 성장과 추가 출시 등에 전문의약품(ETC) 제품 믹스 개선이 기대된다. 지난해 4분기 유한양행의 추정 매출액, 영업이익은 4452억원, 369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 333% 증가할 전망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대체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한다. 일반의약품(OTC)은 10% 증가한 318억원, ETC는 4% 감소한 2440억원, 생활건강은 12% 증가한 330억원으로 전반적으로 2분기와 3분기에 이어 OTC와 생활건강 사업부의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유한양행은 지난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에 표적 치료제 ‘EGFR-TKI’로 폐암 치료를 받은 적 있는 진행성 폐암 환자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