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18880 55

한온시스템, 누적 수주 성과와 친환경차의 빠른 성장

한온시스템(018880)의 누적된 수주 성과와 친환경차 시장의 빠른 성장 등을 반영해 미래 이익 전망치를 상향했다. 한온시스템의 투자 포인트를 세가지로 짚었다. 향후 5년간 친환경차 관련 매출액 2조 3000억원이 가산돼 총 2조 9000억원의 매출액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정비 분산 효과 등에 힘입어 향후 5년간 영업이익률은 4.0% 포인트 상승(2025년 영업이익률 8.6% 전망)할 것이다. 이어 2024년까지 증산에 필요한 투자가 이미 완료돼 향후 잉여현금흐름이 크게 개선(향후 5년간 1851억원 증가)될 것이다. 한온시스템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3158억원에서 5년간 CAGR 21.6%의 속도로 성장해, 2025년 8382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매출액 증가 (2020년 6조 9000억..

한온시스템, 올해 1분기부터 전기차 비중 증가...수익성 개선

한온시스템에(018880) 대해 올해 1분기부터 전기차 비중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을 예상한다. 국내 최대 자동차 공조제품 전문 제조업체인 한온시스템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2조1000억원, 이 기간 영업이익은 1943억원으로 13.6% 늘었다. 이번 영업이익에는 지난해 3분기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 115억원에 대한 환입이 발생했지만, 이를 제외해도 영업이익률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8.7%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이 회사의 전기차 매출은 대부분 폭스바겐과 현대차그룹이 차지했다. 특히 폭스바겐은 모듈형 전기차 플랫폼 MEB(Modular Electric Drive Matrix) 양산을 본격화하고 있어 비중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과 유럽, 한국을 기반..

한온시스템, 전기차 대중화 진입...실적 성장 기대

한온시스템(018880)에 대해 전기차 대중화 진입에 따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2020년 하반기 들어 전기차 침투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혁신제품 수용곡선상 대중화 변곡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과 유럽이 전기차 대중화를 견인하고 있다. 각 정부에서 2035년을 앞뒤로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발표하고 있으며, 전기차 가속화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전기차 업체의 주가 급등에 주목했다. 올해 하반기 테슬라보다 중국 전기차 벤처 3인방의 주가 상승이 더 가파른 이유를 전기차 대중화에서 찾았다. 자동차는 아무리 기술이 뛰어나도 한 업체가 독과점 지위를 차지하기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부품주 역시 양적 성장의 수혜를 누리는 업체에 주목해야 한다. 한온시스템..

한온시스템, 친환경차 부품군 실적 호조

한온시스템(018880)에 대해 친환경차 부품군의 실적 호조로 3분기에 실적 컨센서스 상회에 이어 내년에도 매출비중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했다. 한온시스템의 올해 3분기 매출액, 영업이익은 1조9000억원, 1196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 12% 증가했다. 과징금 200억원, 구조조정 비용 20억원 등 일회성 비용으로 총 220억원이 반영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정 영업이익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32% 다. 북미와 기타 지역 매출액이 고객사 출하 감소와 일부 프로그램 중단으로 감소했지만 한국, 유럽, 중국은 현대차(005380)와 기아차(000270), 폭스바겐, GM 등으로 공급이 늘면서 한국이 16%, 유럽 5%, 중국 8% 증가했다. 친환경차 부품군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한온시스템, 다변화된 포트폴리오에 여전한 성장성 포인트

한온시스템(018880)에 대해 전방 산업의 성장과 높은 수주 경쟁력에 기반한 중장기 성장성이 여전한 만큼 팬데믹(세계적 유행병)이 일단락되면 다변화된 포트폴리오와 높은 친환경차 매출이 강한 투자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한온시스템은 강점이 위기로 작용했던 구간이었다고 평가했다. 한온시스템의 대표적인 투자포인트는 크게 다변화된 고객·지역 포트폴리오, 전방 산업(친환경차)의 높은 성장성으로 꼽을 수 있지만 최근 강점이었던 요인들이 오히려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주가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글로벌 팬데믹 상황에서 중국과 한국이 비교적 일찍 회복한 반면 미국과 유럽이 쉽게 회복되지 못하자 주요 고객이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한 한온시스템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했고, 전방 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수주 증..

한온시스템, 향후 전기차 관련 매출 기대

한온시스템(018880)은 올해 1분기 인수·합병(M&A)의 영향으로 외형성장을 이뤘지만 영업이익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부진했다. 다만 향후 핵심 고객들의 공격적인 전기차 출시로 인해 전기차 관련 매출이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한온시스템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67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2%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597억원으로 3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성장동력인 전기차향 매출 비중은 15.6%로 상승세를 이어나갔지만(2019년 4분기 15%, 3분기 14.4%), 코로나19 여파가 중국에서는 2월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3월부터 본격화됐다. 한온시스템은 북미와 유럽 매출 비중이 70%에 달한다. 따라서 아시아보다 서구권의 코로나19 회복이..

한온시스템, 지난 4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합병 시너지 효과 기대

한온시스템(018880)에 대해 2019년 4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상회했고, 2020년 본격적인 합병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온시스템의 2019년 4분기 매출액은 1조9000억원, 영업이익은 17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6%, 9.9% 증가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현대·기아차, 포드 등 주요 고객사의 생산은 부진했지만, E&FP 합병 효과와 비용 통제 효과로 실적 기대치를 상회했다. 한온시스템의 전동화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고객사 다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한온시스템의 전동화 및 친환경차 관련 매출 비중은 2019년 8.9%에서 15%로 대폭 상승했다. 이는 현대차 등 주요 고객사의 전기차 비중 확대와 E&FP 합병 효과에 의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2019년 고객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