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G전자 140

[블루오션스탁] 2022년 7월 7일 (목)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FOMC 의사록 공개 속 물가 안정 의지 재확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반등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일본 증시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 지속에도 6월 美 FOMC 의사록 안도감 속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6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된 가운데,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Fed의 강력한 의지가 확인된 점이 뉴욕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의사록에 따르면, Fed 위원들은 경제가 둔화되더라도 인플레이션 억제가 최우선 대응 과제가 돼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위원들은 “통화정책 강화가 당분간 경제 성장 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다”면서도 “물가 상승률을 다시 2%로 낮추..

오늘의 시황 2022.07.07

LG전자, 전장사업 진출 9년 만에 흑자전환 기대감

LG전자(066570)의 전장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올해 상반기에만 8조원 규모의 수주를 올리며 성장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사업 진출 9년 만에 흑자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다. LG전자에 따르면 전장(VS)사업본부는 상반기 유럽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일본 메이저 완성차 업체의 5세대 정보통신(5G) 고성능 텔레매틱스 등 총 8조원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수주는 지난해 말 기준 수주잔고 약 60조 원의 13%에 달하는 성과다. LG전자는 ▲VS사업본부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자회사 ZKW의 차량용 조명 시스템 ▲합작법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이하 LG마그나)의 전기차 파워트레인 등 3대 핵심사업이 고르게 성장해 연말..

[블루오션스탁] 2022년 4월 28일 (목)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반발 매수세 유입 속 빅테크 부진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러시아 가스 공급 중단 소식에도 소폭 상승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으며, 일본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밤사이 美 증시 급락세가 진정된 가운데, 장 마감 후 메타, 퀄컴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美 선물 지수가 강세를 보인 점이 국내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전일 뉴욕 3대 지수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속 급락세를 보인 가운데, 이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입니다. 전일 나스닥지수는 4% 가까이 급락했으며, 다우지수와 S&P500지수도 2.38%, 2.81% 급락한 바 있습니다. 특히, 나스닥지수는 2020년 9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낙폭 과대 ..

오늘의 시황 2022.04.28

LG전자, 자동차 부품의 흑자전환 기대

LG전자(066570)에 대해 1분기 잠정 실적에서 자동차 부품의 조기 흑자 전환을 확인했다. 1분기 잠정 영업이익은 1조 8801억원(QoQ 177%, YoY 6%)으로 시장 컨센서스(1조 3559억원)를 상회했다. 일회성으로 인적 구조 쇄신을 위한 대규모 비용이 발생했지만, 그보다 훨씬 더 많은 특허 라이선스 수익이 더해졌다. 자동차부품이 마침내 실질적인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가전은 프리미엄 경쟁력을 바탕으로 인플레이션 방어력을 입증했으며, 동사의 특허력과 특허 가치가 막강함을 보여줬다. 특히 주가에 대해 우크라이나 사태가 가중시킨 인플레이션 우려를 과도하게 반영하고 있다. 거듭 강조하지만 자동차부품의 체질 개선을 주목해야 한다. 고수익성 인포테인먼트(오락+정보) 프로젝트가 확대되며 제품 Mix가 ..

LG전자, 태양광 패널 사업 중단...수익성 개선 효과

LG전자(066570)에 대해 태양광 패널 사업 종료 결정으로 효율화가 기대된다. 2020년 태양광 패널 사업 매출은 8817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1.5%를 차지했고 영업적자가 지속됐기 때문에 3분기부터 LG전자 BS 본부의 수익성 개선 효과가 일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액 19조6000억원 (-6.5% QoQ, +10.3% YoY), 영업이익 1조2800억원 (LG전자 단독: 9497억원, LG이노텍 3348억원, +89.5% QoQ, -27.3% YoY, 영업이익률 6.5%)으로 추정된다. 1분기 매출은 전장부품(VS)를 제외한 전 사업부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할것으로 전망되고, 영업이익은 원재료비 인상과 물류차질에 따른 비용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감소..

[블루오션스탁] 2022년 1월 7일 (금) 주식시황

뉴욕 증시가 Fed 조기 긴축 우려 지속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으며, 일본 증시도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내 증시는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가운데, 삼성전자, LG전자의 양호한 잠정 실적 발표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지수는 1% 넘게 반등했습니다. Fed의 조기 긴축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연일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전일 공개된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위원들은 예상보다 빠른 기준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QT) 가능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위원들은 경제,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전망을 고려할 때 앞서 예상했던 것보다 더 일찍 또는 더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기준금리 인상..

오늘의 시황 2022.01.07
반응형